베이징 컨스피러시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겨냥한 대 테러 전쟁
에이드리언 다게 지음, 정탄 옮김 / 끌림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자신이 테러리스트라고 상상하고 이 소설을 썼다고 한다. 작가는 인터넷으로 검색한 자료를 중심으로 장소와 공격 목표를 설정했다. 이 때문에 테러리스트에게 영감을 얻을 수도 있다고 걱정을 하였지만 그보다 경각심을 심어주는데 더 중점을 두었다고 말한다. 물론 작가의 상상력이 다른 사람에게 영감을 줄 수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런 상황 자체를 만들지 않는 것이다. 점점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종교 갈등과 빈부격차는 앞날을 예측하기 더 힘들게 만든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얼마 전 티베트 국민과 세계 인권단체들의 성화 봉송 저지를 보고 다시 한 번 더 느꼈지만 중국은 수많은 문제가 있다. 뭐 문제없는 나라가 어디 있겠냐고 묻는다면 할 말이 없지만 지금도 명동이나 인사동에 나가면 인권 탄압 관련 정보를 전시한 사진과 기록들이 있다. 천안문 과 파륜궁 사태에 조금만 관심이 있다면 얼마나 처참하고 잔혹한 탄압이 있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사태에 관심을 두기보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이슬람 신자를 등장시켜 종교 갈등과 인권 갈등을 더 부각시키며 진행한다.

 

9.11 이후 점점 과격해지는 이슬람 과격단체들의 자살 테러는 끔찍하고 무시무시하다. 이 세상에 자신의 목숨을 버리고 달려드는 사람처럼 무서운 존재가 어디 있겠는가! 그날의 사건으로 현실이 상상력을 압도한 사실에서 수많은 작가들이 만들어내는 시나리오도 점점 치밀하고 거대해지고 있다. 이 소설은 그 한계를 더욱 확장하고 있다. 알 자지라 방송을 통해 가끔 듣는 전 세계적인 공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재미난 점은 베이징 올림픽을 둘러싼 가장 무시무시한 음모를 꾸미는 측이 다름 아닌 미국이란 것이다. 천연두와 에볼라 바이러스를 결합한 가공할 생화학무기로 음모를 계획한다. 이 계획을 보면서 9.11 음모론을 자연스럽게 상상하지 않을 수 없다.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다른 사람들의 생명을 얼마나 가볍게 다루는지 보여주기 때문이다. 무서운 상상이다.

 

에이드리언 다게의 소설로는 두 번째로 읽지만 지난번처럼 이번도 아쉬움이 많다. 이야기를 만들고 후반까지 풀어가는 과정과 문장은 재미있다. 하지만 마지막 부분과 인물들의 특징을 너무 과장되게 표현하면서 긴장감을 떨어트린다. 섬세하고 치밀한 전개와 개성 있는 인물들의 설정이 조금 부족하게 느껴진다. 이 부분을 더욱 보강하고 개연성과 좀더 치밀하면서 전체를 아우르는 상황을 만든다면 더 재미있을 것 같다. 재미있지만 아쉬운 점이 있어 쓴 소리 몇 자 적는다.

 

단순히 읽을 수도 있지만 깊이 있는 생각을 하는 대목이 많다. 티베트보다 많은 사람들에겐 알려지지 않았지만 신장 위구르 자치구도 많은 인권 탄압과 독립에 대한 열망이 가득하다. 소설 속에서 베이징 올림픽을 나치의 베를린 올림픽과 연관시켜 표현한 대목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독재와 인권이 무너진 나라에게 그 나라를 선전하기 가장 좋은 수단이 올림픽임을 이미 가까운 88년 서울 올림픽에서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상업적 목적과 스포츠의 열기 속에 조용히 묻혀 버리는 수많은 인권과 기독교와 이슬람 사이의 점점 격화되는 갈등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한다. 아쉬운 몇 곳이 있지만 그만큼 생각하고 느낄 곳이 많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