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둥의 계절
쓰네카와 고타로 지음, 이규원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을 읽으면서 서양작가 로즈 젤라즈니의 ‘앰버연대기’가 생각났다. 오래전에 읽은 책이라 정확한 기억은 없지만 현실과 다른 세계의 경계를 걷는 주인공의 모습은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왜 이 작가를 끄집어내느냐 하면 이 소설 속 주 배경인 “온”이라는 공간과 그 속에서 살던 사람이 현실에 왔을 때 일어나는 현상 때문이다. 자신들은 현실을 인식하지만 현실에 사는 사람들은 그들이 투명인간처럼 존재 자체를 느끼지 못한다. 이런 특이한 상황 설정만이 아니라 소설 전반적으로 지금까지 읽고 본 수많은 소설이나 애니나 영화의 흔적을 조금씩 보았다. 이 흔적들이 작가의 상상력을 짓누르고, 따로 논다면 아마도 상당히 지루했을 것이다. 하지만 상상력은 차분하면서도 견고한 구성으로 이어지면서 재미있었다.
소설을 모두 읽고 난 후 먼저 든 생각은 다음 권이 나올까? 였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작가가 창조한 세계와 매력적인 주인공과 특별한 존재인 바람와이와이 때문이다. “온”으로 불리는 그 곳은 옛 시대의 모습을 간직하면서 자신들만의 세계에 갇혀 있고, 이제 조금씩 성장하면서 자신과 과거를 깨닫게 되는 겐야는 수많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많은 판타지에서 주인공을 돕는 정령 같은 바람와이와이는 첫 등장 이후 그 비중을 점점 높이면서 긴 세월을 살아오면서 간직한 엄청난 사연들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리고 아직도 “온”의 세계는 너무 많은 비밀과 사연이 숨겨져 있다.
두 시점으로 이야기는 이어지는데 조금 눈치 빠른 사람이라면 중반부터 알 것이다. 겐야와 아카네의 관련성을 말이다. 이 두 사람은 중요한 인물이다. 특히 겐야는 주인공으로써 전체 이야기를 끌고 나가면서 두 세계를 이어준다. 현실에서 태어나 어떤 사연 때문에 온으로 와서 다시 현실 세계로 돌아가는 그 과정은 그 두 세계의 경계를 걷게 만든다. 이 때문에 사실 두 세계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생략되어 있다. 아마 다음에 온의 성립과 그 사회의 모순을 다룬다면 새로운 재미난 이야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강한 인상을 주는 것은 역시 악당인 도바 무네키다. 그는 온에서 발생하는 천둥의 계절에 사람들을 처치하는 귀신조 출신이다. 풍령조 바람와이와이를 자신에 종속시키면서 불사의 몸을 얻었다. 자신의 어머니를 직접 죽이고 더욱 비정해지면서 감정은 메마르고, 강한 자극을 원하는 마음은 점점 더 잔혹하게 만든다. 그의 사연을 보다 보면 연민도 생기지만 곳곳에서 풍기는 악의는 약간은 밋밋하게 전개되던 이야기에 강한 활기를 불어넣어준다.
전작 ‘야시’에서도 느꼈지만 이번 소설도 길게 느껴지지 않는다. 빠르고 재미있게 읽었다. 하지만 아쉽다. 뭔가 이야기가 더 많을 듯한데 무성하게 돋아난 곁가지를 마구 친 것 같은 느낌이다. 조금 더 살을 붙인다면 엄청난 대작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왠지 모르게 이 작가의 책은 아쉬움과 더 많은 갈증을 느끼게 한다. 이 소설에서도 느낀 점이지만 일본 작가들이 자신들의 전설이나 신화를 이용해 만들어내는 환상의 공간과 시간은 부럽다. 전작과 더불어 이번에도 두 세계와 경계를 다루었는데 다음 소설도 경계를 다룬다니 어떤 점에서 비슷하고 다를지 호기심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