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책들의 도서관
알렉산더 페히만 지음, 김라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이 도서관은 특이하다. 사라진 책들만 모여 있다. 사라졌던 책이 발견되면 이 도서관에서 폐기처분된다. 그럼 이 도서관은 존재하는가? 아니다. 상상의 도서관이다. 인간의 기나긴 역사 속에서 말해졌거나 존재했을 책들의 흔적을 다루고 있다. 길게는 진시황의 분서갱유로 사라지거나 가까이는 사라예보 사태로 사라진 책들에 대한 기록이다. 그 이전의 책도 물론 다루고 있다. 기록이라고 하니 거창하게 느껴지는데 사실은 작가들과 그 작가들을 둘러싸고 존재했었던 책들에 대한 에피소드들이다. 몇몇은 실존했지만 분실하거나 태워졌고, 몇몇은 상상 속에서 존재하는 책들이다. 하지만 모두가 그 나름대로의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종류의 책을 읽을 때마다 나의 지식이 얼마나 부족한지 알게 된다. 몇몇 에피소드는 알고 있는 것이지만 대부분은 모르는 것이고, 저자가 말하는 수많은 책 제목 중에 내가 알고 있는 것은 극히 일부분이다. 물론 태어나고 자란 환경이 다른 차이가 있지만 저자의 풍부한 지식과 상상력은 부럽다, 그리고 얼마나 많은 책들이 사라졌으면 이런 책이 나왔을까 하고 감탄한다. 그 사라진 책들에 호기심이 생기고, 소유욕이 솟구치는 것을 보면 책에 대한 욕망을 깨닫게 된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실날같은 존재의 개연성만 있어도 그 책은 얼마든지 실재한다고 볼 수 있다.”란 문장으로 시작한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주제와 대상을 이보다 더 잘 표현할 수는 없을 것이다. 원고를 태워 없애고, 분실하고, 암호 때문에 제대로 해독하지 못한 수많은 작품에 대한 그리움과 관심이 담겨있다. 헤밍웨이 분실한 초기 원고나 카프카가 태워버린 원고나 도스토예프스키의 미완성 작품 등은 그들을 좋아하는 나에겐 정말 큰 축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이 원고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안타깝다. 아쉽다. 혹시 다른 사라진 책들이 수 십 년의 시간을 건너 발견된 것처럼 이 책들도 발견되어질까 살짝 기대해본다. 하지만 알고 있다. 불가능하다는 것을.

 

책 속에 담기 수많은 사연과 이야기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공감할 대목이 많다. 특히 아랍 거상이자 독서광 이야기는 놀랍고 부럽다. 자신이 이동하는 도중에도 책을 언제나 읽을 수 있게 십 수 만권의 책을 가지고 다녔다는 장면은 머릿속으로 거대한 움직이는 도서관을 상상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시간 속에 점점 사라져가는 흔적들이 스쳐지나간다. 이런 특별한 이야기 외에 작가들의 기벽이나 시대에 맞지 않는 행동과 기록 때문에 유명 작가들의 일기나 편지 등을 태워버렸다고 말하는 대목에선 책을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 너무 가슴 아팠다.

 

요즘 대부분의 기록이 파일로 저장된다. 엄청난 분량이 시디 한 장에 들어간다. 그보다 큰 것도 외장형 하드 하나면 충분하다. 그래서 가끔 지난 세기처럼 타버리는 일로 책들이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하지만 영화처럼 문명이 파괴된다면 시디나 외장형 하드를 구동할 컴퓨터와 컴퓨터를 실행할 전기가 없는 경우를 상상하지 않을 수 없다. 엄청난 기록이 가능한 매체도 긴 시간과 돌변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사라진 책들의 도서관으로 갈 수 있다. 이런 상상의 세계에 빠져들게 하면서 이전에 읽은 수많은 책들 속 책에 대한 희미한 기억을 되살리며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