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모차를 사랑한 남자 - 인간 존재의 수수께끼를 푸는 심리학 탐험 16장면
조프 롤스 지음, 박윤정 옮김, 이은경 감수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최근에 심리학 실험을 다룬 책을 몇 권 읽었다. 이전에 심리학에 대해 알고 싶은 마음이 강했다. 그래서 심리학 개론을 읽었다. 흔히 예상한 내용과 달리 뇌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하여 살짝 지겹고 질렸다. 하지만 요즘 심리학 실험을 다룬 책들이 나오면서 예전에 심리학에 대한 환상이 조금씩 채워지고 있다. 동시에 잘못 알고 있던 수많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람의 마음을 안다는 것은 참 어렵다. 심리학자라고 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실험을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이론들이 뒤바뀌는 현실을 보면 그 길이 더욱 험난하고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학자들이 연구에 뛰어들고, 새로운 이론이 나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고 매력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에 실린 16개의 사례들 중 한둘은 누구나 한 번쯤은 여기저기에서 들은 기억이 있는 유명한 이야기다. 서문에서 저자는 사례연구의 뛰어난 점과 약점에 대해 말한다. 그것을 감안하고 읽다보면 예상외의 많은 정보를 알게 된다. 또 책으로 출간되어 당연하게 생각했던 몇 가지들에 의문을 제기한 것을 보면서 비판적 책읽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더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저자도 말했듯이 사례연구는 개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해주고, 박진감이 있고, 재미있다. 그리고 그 사례들이 일상적이지 않고 특이한 것들이면 더욱 흥미로울 것이다. 이 책에 실린 16개의 이야기가 딱 그런 것들이다.

 

적지 않은 이야기 갯수다. 여기저기에서 본 내용도 있지만 이 책의 구성은 상당히 흥미롭다. 사례연구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한 다음 그 사례연구에 대한 논쟁을 보여주고 마지막에 뒷이야기로 현재 진행되는 내용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덕분에 하나의 사례를 통해 사례와 논쟁의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알게 된다. 그래서 읽는 속도와 재미가 배가된다. 만약 몇 가지 사례에 대해 알고 있다면 기억을 더듬어 비교하는 재미도 있다.

 

원제를 보면 심리학의 고전사례연구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단순히 흥밋거리로 생각한 나에게 사례연구가 지닌 핵심을 잘 드러낸 제목이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자극적인 것이 번역서의 제목이지만 이 사례연구들이 심리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논쟁이 벌어지고 변하여왔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몇 가지 사례는 알고 있던 것이지만 편견에 사로 잡혀 있었거나 개인적으로 뜨끔하게 만든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38명의 이웃들 앞에서 죽어간 여자의 사례와 이브의 세 얼굴 사례다. 여러 사람이 보는 앞에서 죽은 여자는 나도 또한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만들고, 다중인격에 대한 사례는 한때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 우쭐한 마음을 가지기도 했다.

 

또 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의 사례는 예전에 누군가가 이런 사람이 있다고 하면 불가능하다고 말했는데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이 놀라운 기억력이 꼭 축복인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에 또 한 번 놀란다. 이미지를 이용해 기억하는 방식은 현재 기억력과 관련된 책에서 많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암기교육에 올인 하는 사람들이 눈여겨 볼 대목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리고 다른 사례들도 익숙한 이야기들이 많은데 현재까지의 논쟁이나 흐름을 알게 된다는 점에서 강한 장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흥미롭고 유익하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이 사례연구들이 특이하고 현실과 동떨어진 듯이 보이지만 그 기저에 흐르는 이론과 분석들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특이한 사례를 일반화하면 오류도 많이 발생하겠지만 그 대상이 인간임을 생각하면 누구나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임을 알 수 있다. 역시 이야기를 좋아하는 나에겐 딱딱한 심리학 개론보다 이런 사례연구나 실험을 다룬 책이 더 맞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