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밥상 - 농장에서 식탁까지, 그 길고 잔인한 여정에 대한 논쟁적 탐험
피터 싱어.짐 메이슨 지음, 함규진 옮김 / 산책자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 세 가족의 식단을 통해 우리가 먹는 것에 대한 윤리를 고찰한 책이다. 읽는 내내 이전에 읽었던 ‘잡식동물의 딜레마’라는 책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책속에서 피터 싱어에 대해 이야기한 것을 기억하고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마이클 폴란의 예를 들면서 인용하고 논쟁을 이끌어내고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이 두 책의 구성을 보면 상당히 유사한 점이 많다. 자신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위해 앞의 두 단계를 자세히 묘사하고 경험하면서 마지막 장에서 논점을 강하게 부각시킨다. 이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데 전체적인 전개와 흐름이 잘 다듬어져 있기 때문이다.

 

먹을거리와 윤리는 쉽게 생각하기 힘든 주제다. 재래시장이나 어릴 때 동물이나 고기를 잡는 모습을 본 사람이라면 잔인하다는 사실을 알겠지만 대부분 단발성 사고로 그치거나 무감각해지고 만다. 덕분에 대부분 사람들이 편하게 맛있게 육식을 한다. 그렇다고 이 사람들이 모두 동물들이 잔인하고 추악하게 살해당하는 것을 찬성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들에겐 이 동물들이 자신들에게 먹을거리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들은 현실의 세 가족을 통해 우회적으로 길을 나선다.

 

첫 번째는 미국 보통 가족이다. 할인마트에서 먹을거리를 구입하고, 아이들과 외식하러 패밀리레스토랑을 찾는다. 현대 미국 식품산업을 상징하는 닭고기에서 먹을거리에 대한 긴 여정은 시작한다. ‘잡식동물의 딜레마’에서 옥수수부터 시작한 것을 떠올리면서 빠져들었다. 과연 그 닭고기는 싼가? 그리고 윤리적인가? 라는 두 명제를 다루면서 돼지나 소로 이어진다. 사실 우리가 구입하는 최종가격은 싸다. 하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볼 때 과연 싼가? 아니다. 다른 책에서도 보여주었듯이 막대한 보조금과 환경 파괴로 인한 간접 비용들이 더 많이 들고 있다. 그 사이에서 이익은 대부분 몇 개의 거대 기업이 챙긴다. 그러면 과연 위생적이고 건강에 좋은가? 아니다. 사육장의 환경은 처참하고 잔인하고 열악하다. 그들은 사육장에 대한 공개를 꺼려하고 숨기면서 위생과 영양과 윤리 등을 외친다. 놀랍고 그 뻔뻔함에 다시 놀란다.

 

두 번째 가족은 양심적인 잡식주의자다. 여기서는 유기농과 상표와 물고기에 대해 많은 부분을 다룬다. 분명 유기농 식품은 기존 식품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영양에서도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좀 더 파고들면 점점 새로운 사실이 나온다. 과연 윤리적인가? 상표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가? 답은 아니다. 좀더 윤리적으로 다루는 업체가 있지만 모두가 도축되는 과정에서 고통 없이 도살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또 어류에 대한 저자의 인식은 새로운 사실을 알려준다. 남획으로 인한 어종의 멸종만이 아니라 환경이 파괴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어느 부분 알고 있었지만 그것은 단순히 연안해역의 문제였지 공유해역까지 문제가 될지는 몰랐다.

 

마지막은 완전한 채식주의자다. 사실 저자들은 이 사람들을 위해 긴 글을 쓴 것이다. 윤리적인 먹을거리에 대한 그들의 주장은 여기에 담겨있다. 최종적으로 사람들이 채식주의자가 됨으로써 자원 낭비나 종의 멸종이나 환경파괴 등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현실을 무시하지는 않는다. 육식과 채식주의자들의 논쟁을 담아내면서 윤리라는 형이상학적 이야기로 생각에 빠지게 한다. 종의 멸종보다 그가 중심을 두고 있는 것은 잔혹한 살육이나 고통이다. 영양에 대한 부분이야 수천 년 동안 스님들이 먹어 온 것이라 의심하지 않지만 그 통증이란 부분에 가면 나의 인식은 삐딱해진다. 눈에 보이거나 측정이 쉬운 통증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채소나 야채나 나무들은 통증이 없다는 말인가? 차라리 이 부분에서 불교의 윤회설이 좀더 설득력이 있지 않나 생각한다.

 

여기서 다루어지는 육식에 대한 논쟁은 뒤로 하고, 그 세부 사항만 읽더라도 많은 것을 배운다. 무역과 신토불이에 대한 것이나 환경오염이나 좋은 먹을거리에 대한 분석은 인식의 지평을 넓혀준다. 잔혹하고 열악한 사육현장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현실에 대해 눈과 귀를 덮고 있는 정부 관계자들에게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죽음의 밥상이란 자극적인 제목이 책 내용과 어느 정도 부합하지만 원 제목인 ‘우리가 먹는 것에 대한 윤리학’이 더 명확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뭐 마케팅에서는 이 제목이 더 강한 인상을 주겠지만. 마이클 폴란의 책을 인상 깊게 읽은 사람에게 이 책을 더욱 권하고 싶다. 비교하거나 서로 보충적인 내용이나 다른 시각이 읽는 즐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책 전체가 읽기 힘든 사람이라면 이 책의 마지막 장인 ‘무엇을 먹을 것인가?’라도 읽으라고 하고 싶다. 책 전반적인 것이 잘 요약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제 단순히 먹을거리가 아닌 다른 종에 대한 윤리까지 우리가 생각해야 시대가 된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