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
김종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한 남자가 쫓긴다. 그의 뒤를 사신이 따라온다. 헌데 이 남자의 정체는 토악질을 할 정도로 잔혹한 살인마다. 그의 회상을 따라가면 이유 없는 살인이 나온다. 궁금해서 쾌락을 느끼기 위해 사람을 죽인다. 이런 그를 쫓아와 잔혹하게 죽이는 어둠의 존재가 있다. 그 과정은 참혹하고 잔인하여 그 살인마에 버금간다. 그 최후의 순간 한 여자가 잠에서 깨어난다. 악몽이다. 그리고 빠진 하나의 손톱.

 

첫 장면부터 강렬하고 인상적이며 섬뜩하다. 간결한 문장과 직접적인 표현은 읽는 사람이 숨을 고를 틈을 주지 않는다. 단숨에 읽고 빠져 나와 마주한 장면에서 호흡을 가다듬고 그 참혹한 악몽과 현실의 홍지인을 만나다. 그리고 다시 과거의 아픈 기억을 마주한다. 그녀 홍지인의 딸이 일 년 전 목이 졸려 죽은 것이다. 이렇게 시작한 악몽과 손톱은 하나씩 되풀이되면서 그 진실의 참모습을 보여준다.

 

라만고. 이 소설에 등장하는 중요한 주술 단어다. 그는 손톱을 먹는 자다. 처음부터 끝까지 이 존재는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그러나 이 존재가 왜 갑자기 나타났는지 알려주지 않는다. 약간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긴 하지만 공포소설에서 이런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공포의 심연을 들여다보는데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그 존재 자체가 공포를 조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 속에 나오는 의미는 의미심장하고 사건을 풀어내는 단서이기도 하다.

 

손톱. 사람의 손가락은 모두 10개다. 이 말은 곧 열 명의 죽음을 의미한다. 사이코패스 같은 첫 번째 악몽에서 만난 악당과 살인청부업자와 퍽치기를 지나 고문 기술자에 이르면 조금 윤곽이 잡혀야 하는데 좀처럼 잡히지 않는다. 물론 소설은 앞에서 단서를 널어놓았다. 눈치 빠른 사람이라면 중반 이후 마무리가 되기 전 알 것이다. 하지만 이런 원인을 찾아내는 즐거움보다 악몽과 연결되는 사람들의 사연과 놀라운 과거가 더 충격적으로 다가온다. 어쩌면 그 사실들이 더한 재미를 주는지도 모른다.

 

기억. 우린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 것을 정확하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기억은 선택적이고 암시 등에 의해 왜곡되기도 한다. 자신의 잘못을 오래 기억하기보다 왜곡이나 합리화 시키고 잊기를 더 좋아한다. 대표적인 인물로 이 소설 속엔 고문 기술자 조성필이다. 참혹하게 사람들을 죽여 놓고 소위 말하는 빽으로 풀려난 인물이다. 그런데 그는 그가 저지른 잔인하고 무서운 일들을 인정하지 않는다. 아니 그 사실 조차 기억하지 못한다. 그렇게 우리 기억은 부정확하고 왜곡되고 망각의 늪으로 빠져든다. 이런 다음에 일어나는 사건들에서 반복된다.

 

6월 15일. 이 모든 사건이 발생한 날짜다. 모든 죽음이 이 날에 이루어졌다. 그 시간은 동일하지 않지만 공통되는 날짜다. 긴 시간을 들여다보면 마주하는 무시무시한 사건들이 있다. 비록 그들이 제대로 기억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그 날 벌어진 사건들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참혹한 사건들이다.

 

거울. 이상의 시와 더불어 이 소설을 풀어내는 또 다른 단서다. 이상의 시로 시작한 몇 편의 한국 소설들이 머리를 스치고 지나간다. 최근에 다시 재간된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도 이상의 시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이 소설은 음모론과 모험을 다룬 것이지만 이 소설은 공포를 다루고 있다. 다시 이상의 시집을 읽어야 하려나? 거울의 이미지와 이상의 시는 또 다른 나를 돌아보게 만든다.

 

이 모든 단서들이 풀어내는 공포는 굉장히 직접적이다. 힘들게 돌아가지 않고 직접 그 상황과 장면을 그려낸다. 피가 흐르고 신체의 일부가 드러나는 장면과 그 고통과 공포를 거침없이 표현하고 있다. 어쩌면 거부감을 줄 수도 있다. 간결한 문장과 차분한 시선으로 더 가속화시킨다. 감정이입 되는 순간 몸을 타고 오르는 괴이한 기분은 섬뜩하다. 그래서인지 단숨에 읽지는 못했다.

 

라만고를 만난 사람들의 행동은 모두 다르다. 자살로 삶을 끝내거나 타인에게 살해당하거나 그 고통을 참지 못하고 자수하거나 아니면 타인에게 그 죄를 덮어씌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열어놓은 하나의 가능성은 이 무시무시한 사건들과 현실 속에서 한 줄기 희망의 빛을 준다. 하지만 그 선택은 결코 쉽지 않다. 어쩌면 가장 힘든 것인지 모른다. 그 고통과 비극을 직접 마주하고 인정하고 껴안고 살 때 비로써 그 고통을 넘어 평화가 찾아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