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동물의 딜레마
마이클 폴란 지음, 조윤정 옮김 / 다른세상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저녁으로 무엇을 먹을까? 이 문장으로 시작하여 한 끼 식사로 긴 여정은 마무리된다. 그 긴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놀라운 사실과 풍부한 인문학 지식을 마주하게 된다. 단순히 음식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다양한 삶의 모습과 깊은 사고를 요구하는 장면을 만나게 된다. 때때로 그 이야기는 무겁고 단숨에 이해하기 힘들기도 하지만 조금 멈추고 생각에 잠기면 그 속에 열린 열매들로 예상하지 못한 지식과 즐거움을 누린다.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적 음식사슬인 옥수수와 전원적 음식사슬인 풀과 수렵․채집음식사슬인 숲이다. 재미있는 것은 이 시간적 흐름이 현재에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점이다. 그리고 각각의 과정은 그 시대의 가장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 과정들을 단순히 인문학 지식으로 이 책을 집필했다면 풍부한 지식이 들어있었겠지만 생생한 현장감은 없었을 것이다. 저자는 각 음식사슬의 현장을 누비면서 그 과정을 관찰하고 연구하면서 우리 앞에 펼쳐 보여준다. 바로 이 점이 가장 재미난 부분이자 대단하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사실 이 책의 목차를 보면서 산업적 음식사슬을 옥수수로 시작한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나에게 옥수수는 가끔 먹는 간식 그 이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가 경험한 곳에선 옥수수가 단순한 옥수수가 아니라 사료로 고기로 음료수로 끝없이 변신하여 우리 앞에 나타난다. 그 과정에서 만나는 사실들은 산업화된 옥수수 농장과 사육농장과 맥도날드가 있다. 왜 옥수수가 중요한가를 추적하는 그 길은 단순히 옥수수만의 문제가 아닌 현대 미국 음식 문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풀로 대변되는 두 번째 음식사슬에서 만난 폴리페이스 농장은 상당히 인상적이다. 관리 강화 방목이란 방식으로 소와 닭 등을 키우는 그 과정을 보면 상당히 과학적이면서 위생적이면서 효율적이다. 여기서 만나는 유기농은 시대의 흐름을 이미 추월한 모습인데 산업화된 유기농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 차별화된 지점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데 도시화와 인구집중과 올바른 음식에 대한 문제 등이다. 각각의 환경과 상황에서 다른 점이 보이지만 한 가지 점에서 일치하는데 그것은 좋은 재료에 대한 합의다. 비록 그 가격이 좀 더 산업화된 음식에 비해 비싸다고 하지만 밖으로 드러난 그 과정의 투명성과 신선함과 맛 등으로 그 이상의 가치를 가진다. 그리고 산업화된 음식들에게 지원되는 보이지 않는 비용들이 사라진다면 이 음식의 가격이 떨어질 수 있다니 기대해도 될지 모르겠다.

 

마지막 수렵․채집음식사슬에서 만나는 사냥과 버섯 채집은 고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 방식이다. 현재로부터 점점 과거로 걸어가면서 만나는 우리들은 먹는다와 죽인다를 넘어 다양한 사유로 뻗어간다. 특히 채식주의자에 대한 생각들은 인간 본연의 모습과 도덕적 윤리적 모습을 동시에 고민하게 만든다. 또 자연 법칙 속에 인간의 개입을 기피하는 동물보호 단체들이 인간에 의해 생태계가 파괴된 곳을 복원하기 위해 수천 마리의 돼지를 몰살시키려는 일에 제동을 걸면서 종으로서의 돼지에서 개별적인 돼지로 논점이 옮겨갔다고 지적한 대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앞부터 넘어온 사유들과 관찰들이 하나의 저녁식사로 연결되는 장면은 모든 것을 총괄하는 분위기로 잘 집약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와는 맞지 않는 부문이 많다. 하지만 음식사슬을 들여다보면 무시할 수만은 없다. 신자유주의 세계화로 인해 그 여파가 우리에게까지 다가왔기 때문이다. 또 미국이란 나라가 건국 초기부터 다양한 문화로 이루어져 자신들만의 전통음식문화가 없었다고 지적하고 이로 인해 쉽게 갖가지 음식 열풍에 휩싸인다고 말한다. 이 부분에선 우리도 전통문화가 일제를 거치면서 대부분 사라진 여파로 새로운 문화 열풍에 쉽게 빠져드는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마지막으로 저자가 산업화된 음식사슬에서 가장 이득을 보는 업체가 군산업체라고 지적한 것과 정부가 이들에 의해 농장을 효율이란 명목으로 파괴하는 모습을 보게 되는데 놀라운 현실이다. 재미난 일화 중 하나는 유기농업 회의에서 유기농 기업체가 산업 유기농이란 경쟁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애쓰는 어떤 소농에게 시장에서 차별화하려면 특화상품을 개발하려고 노력하라고 말하는 대목이다. 이때 소농이 한 말이 20년 전 유기농이라는 특화 상품을 개발했는데 그 기업체들이 이 상품을 차지했다고 말하는 장면이다. 거대한 괴물 기업체가 어떤 식으로 개인을 잡아먹는지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1950년대 미국 농무부가 정기적으로 농산물의 영양소를 지역끼리 비교하다 그 차이 때문에 다른 지역 재배업자가 곤란에 처하자 그 이후 중단했다는 대목이다. 국민들의 기본적인 정보에 대한 접근을 차단한 것이다. 이것은 옥수수로 대표되는 산업화된 음식사슬의 과정을 제대로 알 수 없게 만드는 것과도 어쩌면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음식은 문화다. 패스트푸드가 그 나라의 문화를 상징할 수는 없다. 슬로푸드라는 단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수많은 업체가 생겨나고 있지만 그 속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대부분 패스트푸드 점포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못하는 곳이 많다. 또 저자가 중요하게 말한 화석연료에 대한 부분은 제철음식과 지역 농산물 시장과의 관계를 돌아보게 만드는 중요한 열쇠이다. 물론 이 화석연료 덕분에 옥수수로 시작하는 산업화된 음식사슬이 시작하지만. 저자의 말처럼 패스트푸드도 슬로푸드도 아닌 그냥 음식으로 한 끼 저녁을 해결한다면 그 시간은 우리를 더 풍족하고 건강하게 만들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