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함마드와 예수 그리고 이슬람 - 이슬람과 그리스도교, 그 공존의 역사를 다시 쓴다, 비움과 나눔의 철학 3
이명권 지음 / 코나투스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슬람을 보는 우리의 시선은 많이 왜곡되어 있다. 가장 근본적인 것은 우리 주변에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이 거의 없는 것과 언론 매체를 통해 들어오는 정보들이 서구의 시각으로 바라본 것들이기 때문이다. 학창시절 기독교나 불교나 서구철학에 대해 배우는 분량에 비해 이슬람에 대해 배우는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하나의 이유다. 그리고 왜곡된 정보에 의한 이슬람의 모습을 가르친 선생들 덕분에 그런 편견은 더욱 공고해졌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대립적인 종교는 유대교, 이슬람교, 그리스도교이다. 하지만 우습게도 이 세 종교 모두 하나의 신을 믿고 있다. 야훼, 알라, 하나님 등의 이름으로 불리지만 영어로 번역하면 모두 GOD라고 한다. 유일신 사상으로 무장한 이 세 종교가 격렬하게 대립하는 것을 보면 외부의 적보다 내부의 적이 더 무섭다는 격언이 생각난다. 물론 이 종교들이 모두 같은 경전이나 율법을 공유하거나 믿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 책은 그 차이점과 우리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슬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람들은 누구나 선입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누구나라고 했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다. 최대한 중립을 지키려고 하는 사람과 그 선입견에 묶인 사람이 있다. 나도 어느 정도는 중립을 지키려고 하지만 어느 순간 강해진 선입견 때문에 이성보다 감정적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의 대부분은 잘못된 정보나 부패한 종교계의 모습에서 비롯하는데 가끔 종교 본연의 자세에 충실한 단체나 사람을 보게 되면 존경하면서 비뚤어진 시선을 바로 잡으려고 한다. 

 

왜 갑자기 이런 선입견 이야기를 하느냐 하면 이 책의 저자가 그리스도교 신자이기 때문이다. 사실을 중심으로 쓴 글로 중립적인 모양새를 보여주고 있다고 하지만 나의 시각 탓인지 자신의 종교에 대한 진보적이고 바람직한 의견을 공고히 하는 부분이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이 없는 것에 대한 창조는 아니다. 다만 두 종교를 비교하는 대목에서 약간 공정하지 못한 듯한 느낌을 받았다는 의미다. 그렇다고 편파적은 아니다. 보기 드물게 이슬람과 그리스도교를 비교하여 서술한 책으로 많은 점을 생각하게 하고 배우게 만든다.

 

책은 2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는 무함마드와 예수의 같고 다른 점에 대한 내용이고, 2부는 이슬람에 대한 모든 개론적 내용이다. “무슬림은 그리스도교인들이 유일신 신앙을 약화시켰다고 주장하고, 그리스도교인들은 이슬람이 삼위일체의 관계적 차원보다는 수학적 유일신에만 집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우리는 이슬람과 그리스도교는 두 개의 상이한 문화와 세계관에서 각각의 신앙이 출발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160쪽) 이 글에서 보듯이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은 같은 하나의 신을 믿는다. 바로 예수의 존재에 대한 해석과 믿음에서 결정적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슬람은 예수를 무함마드처럼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인식하고 예수가 보여준 기적 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런 기본적 차이 외에도 두 종교는 많은 점에서 다른 점들이 있다. 그것은 무함마드와 예수가 처한 환경과 한계 때문이다. 몇 가지 예를 들면 인상적인 이슬람의 자선 행위가 기본적인 의무 가운데 하나라면 예수는 드러내기보다 은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이고, 의(義)에 대해 예수가 작고 평범한 선행에서 시작하는 반면에 알라를 믿는 것에서 시작하여 예배와 자선을 겸하여 행하는 것이 의로운 자로 정의한다. 몰론 두 종교 모두 하나님을 믿고 그 뜻을 따르는 자만이 의롭다 함을 인정받는다는 점은 일치한다.

 

다른 점이 있는 만큼 비슷한 점이 많은 이 두 종교를 보다보면 현세의 욕망에 의해 왜곡되고 본래의 가르침이 사라지는 현실을 깨닫게 된다. 기나긴 역사를 통해 서로 교세를 더욱 확장하는 과정에서 경제적 이득이나 교리 때문에 충돌이 일어나고, 각각의 목적에 의해 본래의 의미나 의도보다 자신들의 목적에 맞추어 변하는 현실을 보면 초심으로 돌아간다는 행위가 어떤 것인지 조금은 알겠다. 비록 나 자신의 선입견으로 온전히 모든 것을 받아들이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시각과 세계를 열어준 것은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