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 관용과 카리스마의 지도자
아드리안 골즈워디 지음, 백석윤 옮김 / 루비박스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평전을 자주 읽지는 않는다. 어린 시절 전집으로 나온 위인전을 열심히 읽은 기억은 있지만 그 후 특별히 찾아 읽은 기억은 없다. 물론 몇 권의 평전이나 자서전을 읽고 크게 감명을 받은 기억이 있지만 그래도 아직은 나에게 비교적 비주류의 세계다. 하지만 잘 읽지 않는 평전이나 자서전을 한두 권씩 사는 것은 막을 수 없다. 언젠가 읽겠지 하면서 스스로 위안을 한다.

 

사실 카이사르에 대해 아는 것은 극히 일부다. ‘브루투스 너 마저! ’나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와 같은 너무나도 유명한 대사와 함께 세기의 미인으로 인식되어 있는 클레오파트라 정도가 먼저 생각난다. 하지만 로마 공화정 시대 마지막을 장식한 독재관으로 여러 사람으로부터 추앙을 받거나 독재자로 미움을 받는 그를 보면서 그의 실체가 늘 궁금하였다. 물론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이니 다른 소설 등으로 그에 대한 인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좀처럼 시대와 연결하여 생각할 수 없었다. 근데 이 책은 개인에 대한 이야기만이 아닌 그 당시 로마를 중심으로 한 유럽과 아프리카 세계를 보여주면서 왜? 카이사르라는 인물이 등장하게 되었는지 보여준다.

 

한 인물을 그려내기 위해서는 그 시대를 보여주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의 장점으로 꼽은 시대 묘사를 보면 단순히 카이사르만이 아니라 그 이전의 마리우스, 술라 등의 전대 인물과 동시대의 폼페이우스나 키케로나 카토 등의 다양한 위인들을 같이 다루면서 현장감을 살려낸 것이다. 저자가 목표로 한 이 카이사르의 일생을 고찰하고 그것을 기원전 1세기 로마 사회를 배경으로 투영시키는 것이라 한 것이라는 점만 보아도 명백하다. 하지만 저자는 단순히 현재의 관점에서 그 시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관점도 같이 말하면서 평가를 입체화시켰다. 현대 평가 기준으로 본다면 결코 좋은 점수를 얻지 못할 점들도 많지만 그 당시 최고의 대중주의 정치가였던 그가 로마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한 정치와 승리를 구가했다는 점을 머릿속에 계속 두고 읽어야 한다.

 

한 명의 특출한 독재자에 의해 나라가 운영되는 것보다 논쟁과 당쟁이 있다 하여도 의회에 의해 다스려지는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역사의 긴 시간에서 보면 그 당시 로마 공화정은 이미 그 힘을 다한 듯 보인다. 이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저자는 기원전 1세기 로마 사회를 그려낸 것이다. 그 이전에 엄청난 권력을 가졌지만 결코 왕으로 발전하지 않은 인물들과 카이사르를 계속 비교한다. 그리고 부패하고 타락한 공화정 내부의 모습도 동시에 보여주면서 그의 뛰어난 업적과 사람들에게 자리한 공포와 기대를 동시에 그려낸다. 이 부분에서 비슷한 이름과 낯선 사람들로 약간 진도가 더디지만 역사의 전면에 카이사르가 나온 ‘갈리아 전쟁기’부터 신나고 흥미로운 이야기가 이어진다.

 

정치에 대한 저자의 글 중에 “정치는 본질적으로 개인간의 투쟁이었으며 다른 사람들은 모두 경쟁자였다. 중요한 것은 대중의 갈채를 ‘받는’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보다 ‘더 받는’것이었다.”는 대목은 카이사르의 기본 정치관을 가장 잘 나타낸 표현이 아닌가 한다. 물론 이것은 현대 정치에서도 중요한 점이다. 강력한 카리스마와 카이사르의 관용으로 불리는 행동과 금전에 대한 큰 씀씀이는 로마인들이 전쟁에서 중요하게 생각했던 행운을 불러오는 요인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온몸으로 품어내는 카리스마와 멋진 연설과 미래에 대한 보장은 그의 연승을 이어주고, 위기에서 탈출하게 하는 강력한 요인이기도 하다. 가끔 그가 지불한 금액에 대한 글에서 보통 사람들의 상식을 뛰어넘는 장면들이 나오는데 이 부분이 로마 시민들이 그에게 더 열광하게 만든 것이 아닌가 한다.

 

책을 읽다보면 저자의 카이사르 애정이 눈에 많이 들어온다. 단순한 숭배자라면 그의 실수나 실패에 대한 변명을 늘어놓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에 대한 평가에 냉정한 시선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물론 그 냉정한 시선이 과연 중립적인가 하는 부분은 또 다른 논쟁이 되겠지만 최소한 과도하게 포장하지는 않았다. 전설처럼 내려오는 수많은 이야기에 대해 일침을 가하고, 논쟁이 되는 부분에선 중도적인 자리를 차지하려고 했다.

 

카이사르를 암살한 음모자들이나 키케로 등이 주장한 카이사르가 평생토록 절대 권력을 꿈꾸었다는 대목에선 저자가 회의적인 시선을 보인다. 특히 음모자들이 신봉한 공화국이 원로원 엘리트들의 특권을 충실히 옹호하기 위한 것이란 지적은 책 전반에 걸쳐 나오는 부패와 타락과 폭력 등을 생각하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그 시대의 윤리나 도덕 등이 비록 현재와 다르다 하지만 역사 속에 드러난 민중들의 마음이 그들과 다른 것을 보면 분명히 민심과 다른 모습이다. 어쩌면 그가 암살됨으로써 왕정으로 가는 시간이 좀더 빨라졌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장점 중 하나는 기원전 1세기를 다루면서 긴 시간 동안 나에게 인물과 시대가 뒤섞여 있던 기억들이 하나씩 자리를 잡았다는 것이다. 브루투스를 카이사르의 친구처럼 기억하고 있던 것도 바로잡았고, 마리우스와 술라나 폼페이우스나 카토나 키케로 등의 인물에 대한 시대와 인물상을 어느 정도 재정립하게 되었다. 그밖에도 수많은 즐거움이 있는데 너무 많은 분량의 책이라 한꺼번에 기억하기에 벅차다. 하지만 이 한 권으로 카이사르 시대와 그 이전 세대에 대한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는 점은 엄청난 이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