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의 나라 1 책세상문고 세계문학 8
모옌 지음, 박명애 옮김 / 책세상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당혹스러운 구성과 진행이다.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곤 생각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구성과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이럴 줄은 몰랐다. 복잡하고 어려운 구성이라기보다 낯설고 독특하다는 것이 더 맞을지 모르겠다. 이전에도 이것과 비슷한 소설을 읽은 적이 있었기에 큰 당황은 없었지만 당혹스러운 것은 사실이다. 어떻게 이해하고 풀어야할지 지금도 어렵다.

처음엔 추리소설 분위기가 풍겨 가볍게 넘어가겠는데 하는 순간 갑자기 모옌과 리이또우의 편지가 끼워들고 또 리이또우의 단편소설들이 실린다. 이것이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다면 분명하고 쉽게 읽겠지만 리이또우의 소설이 모옌이 엮어가는 이야기에 중요한 소재가 되는 것이다. 이야기의 진행은 묘옌의 ‘술의 나라’가 빠르고, 이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가 리이또우의 소설로 나오는데 가상의 도시를 전제로 만들었다지만 상당히 혼란스럽다.

기본 줄거리를 끌고 나가는 인물은 검찰청 특급 수사원 띵꼬우다. 주꾸어에서 아이고기를 먹는다는 편지가 오면서 수사하기 위해 도착했는데 이 인물이 전혀 특급 수사원다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다. 자꾸 권하는 술에 취하고, 환상인지 현실인지 구분을 제대로 못하고, 자신의 본래 모습을 상실하면서 자신감도 잃어버린 것이다. 추리소설 같은 분위기로 시작한 초반을 한밤중의 괴이한 모험으로 바뀌는데 이것이 명확한 모습으로 다가오기보다 환상적인 모습을 띠기 시작하면서 복잡해지는 것이다.

이에 덧붙여 리이또우의 편지와 소설이 주꾸어의 대한 정확한 실체를 잡는데 어려움을 준다. 개별적인 이야기지만 결코 독립적으로 볼 수 없는 소설들이 띵꼬우의 행동과 맞물리고, 마지막에 가서는 모옌이 직접 등장하면서 더 섞여버린다. 리이또우가 작가의 또 다른 분신이거나 문학청년의 모습이고, 띵꼬우가 작가가 창조한 인물임을 알지만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그 수많은 술 이름과 괴상한 요리와 아이고기가 실재하는가 등의 문제로 머릿속은 이미 복잡하다.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오가고, 의식과 무의식이 교차하면서 만들어내는 세계는 녹녹하지 않다.

술의 나라라는 제목처럼 술에 대한 예찬과 엄청난 주량을 가진 인물이 나오고, 술이 빠진 이야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전체적인 윤곽을 잡으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그 자체를 즐기려고 하면 생각보다 재미있다. 여기부터는 띵꼬우의 이야기보다 모옌과 리이또우의 이야기와 리이또우의 소설이 새로운 재미를 준다. 주꾸어에 대한 리이또우의 소설은 그 도시의 참모습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미로를 헤매게 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가오는 마지막 장면은 단절감을 느끼게 하는데 참으로 특이한 재미와 어려움을 준다. 역자와의 대화에서 본 그에 대한 글들은 그에 대한 관심을 더욱 불러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