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으로 가는 길
이스마엘 베아 지음, 송은주 옮김 / 북스코프(아카넷)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너희 잘못이 아니야”라는 어른들의 말을 공감하지 못하는 소년병 이스마엘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단순히 남의 이야기가 아님을 알게 된다. 나라 이름도 생소한 시에라리온이란 곳의 위치도 모르고, 그 나라의 상황에도 무지한 내가 책을 읽으면서 가장 먼저 떠올린 것은 6.25나 영화 등에서 본 아프리카의 내전 장면들이다.

 

멀리는 6.25 전쟁을 소재로 한 많은 소설에서 이미 소년병을 보았고, 베트남 전쟁을 다룬 영화에서도 보았고, 최근 아프리카 내전을 다룬 영화나 중동의 소년병 등에서도 보았지만 그 참혹함에 대해서 실감 하지는 못했다. 다만 어떻게 저런 어린 나이에 저런 행동을 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과 그들을 그런 상황으로 몰고 간 집단과 정치인들을 욕했을 따름이다. 어른들의 뒤틀린 욕망에 의해 희생자가 된 그들의 내면과 행동을 차분히 들여다 볼 용기도 마음도 부족했다.

 

제목에서 풍기는 느낌은 참 다양하다. 영화 제목에서도 보았고, 가끔 농담 삼아 친구들과 늘 하는 말에도 담겨있는 그리움이 여기엔 그것을 넘어 간절함과 처절함과 두려움이 느껴진다. 집이라는 것이 가지고 있는 안정성을 그리워하는 12살 소년이 겪은 그 현장을 따라가다 보면 울지 않으려고 웃음을 짓기도 하고, 반군에게 학살을 당해도 가족과 함께 있기를 원하는 그 마음이 가슴속으로 파고든다. 공포와 광기에 휩싸인 그 나라에서 소년병들에 대한 두려움으로 마음에서 위협당하고 쫓겨나고 피해 다니는 그 상황은 소년병들이 어떤 모습인지 알게 한다.

  

이스마엘이 소년병이 된 것도 살기 위해, 복수를 위해서였다. 하지만 정부군도 역시 그들을 하나의 살인기계로 만들 뿐이었다. 12살 소년 아니 7살 아이를 병사로 이용하는 현실에 놀람을 멈출 수 없다. 총이 자기 키보다 커서 끌고 다니는 아이들을 이용하고, 그들을 마약으로 정신을 잃게 하는 그 현실에, 그들이 저지른 학살과 엄청난 잔인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포로를 총검으로 살해하고 마을을 습격하여 주민들을 학살하면서 웃고 떠들고 총상조차 마약으로 아픔을 느끼지 못하는 그들의 모습은 공포영화보다 더 무섭다. 그리고 너무 비현실적인 현실이라 현실감마저 상실하게 된다.

 

다행히 이스마엘은 유네스코 등의 비정부기관의 도움으로 소년병에서 벗어난다. 하지만 그 현장을 벗어났다고 하지만 마음속은 언제나 그 현장에 머물러있다. 꿈속에 나타나는 살육의 장면과 공포는 그를 쉽게 놓아주지 않는다. 오랜 마약 중독으로 금단 증상을 느끼고, 참혹한 현장을 경험하지 못한 군인들에게 냉소를 날린다. 마음은 이미 꼭 닫혔고, 자신도 다른 사람도 파괴하려는 욕구는 멈추질 못한다. 이런 시간을 지내면서 만난 에스더의 관심과 사랑으로 조금씩 치유하지만 그 잔혹한 흔적은 아마 평생 그를 따라다닐 것이다.

  

이 소년병의 경험담을 읽다보면 가족에서 버림받아 다시 소년병이 된 소년이나 쿠데타에 의해 다시 소년병으로 간 소년의 이야기를 읽게 된다. 그 공포의 현장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이스마엘을 보면 놀랍고 대단함을 느낀다. 그리고 그를 위해 노력한 수많은 사람들의 사랑과 애정과 보살핌은 나를 부끄럽게 한다. 책 앞장에서 소년병이 무기를 들고 힘들게 걷는 모습을 보다 뒷장에서 이스마엘이 환하게 웃는 장면을 보면 마음이 편해진다. 이것도 아마 나의 회피하고 싶은 마음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신들은 안전하고 편안한 자리에 앉아 다른 이들에게 애국이니 복수니 자유 등을 외치는 인간들을 생각하면 분노가 치솟는다.

 

소년병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전쟁 자체가 없어져야한다. 전쟁이 있는 한 소년병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소년들은 가장 열성적이고 단순한 도구임을 역사가 증명해주고 있지 않나! 중국의 홍위병이나 7-80년대의 한국을 생각하면 부모조차도 고발하는 현실을 만나게 된다. 우리의 교육에서 10대 영웅을 가르치고 장려하는 현실을 생각하면 남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