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큐리
아멜리 노통브 지음, 이상해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머큐리가 무슨 의미일까 궁금했다. 책 속에 나온 설명처럼 그리스식 이름은 헤르메스이자 수은을 의미하기도 한다. 헤르메스는 의학의 신이자 전령이기도 하다. 왜 단어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느냐 하면 다양한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고 중요한 장치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수은과 거울, 거울과 전령, 병과 진실 등등. 많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소설을 읽으면서 연극으로 연출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했다. 하나의 외딴 섬에 살고 있는 여자와 늙은 선장 그리고 그 여자를 돌보기 위해 섬을 방문하는 간호사. 단출한 등장인물에 행동보다 대화가 많은 장면들을 보면서 연극 무대를 생각한 것이다. 왜 요즘 연극으로 각색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작품들이 눈에 들어오는지 모르겠다. 소설을 넘어 연출가와 연기자들의 움직임과 목소리와 그들의 해석을 기대하기 때문일까? 아니면 소설 그 자체가 이미 그 요소를 보유하고 있는 것일까?

늙은 롱쿠르 선장이 30년 전 사랑했던 여자를 섬에 데려와 왜곡된 마음과 시선을 가지게 만들어 그만의 소유물로 만들었듯이 5년 전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하젤을 그때와 똑같은 방법으로 자신만의 소유물로 만든다. 그 방법은 그녀가 화상으로 엄청나게 얼굴이 손상되었다는 것을 말하고 믿게 만드는 것이다. 이 거짓된 믿음에 그녀들은 그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세상과 동떨어진 환경에서 자신의 삶을 묶어두고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도망가고자 바람을 들어주었기 때문이다. 사실은 엄청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단지 왜곡된 거울에 의해 뒤틀린 자신을 본 것일 뿐이다. 진실을 비춘다는 거울이 왜곡된 이미지를 심어주면서 삶을 비틀어 버린 것이다. 여기서 거울의 한 재료였던 수은과 유사한 의미를 발견한다.

 

이 비정상적인 관계에 끼워든 간호사 프랑수아즈는 비밀을 파헤치는 탐정이자 그 둘만의 관계를 끊고 진실을 전하는 전령의 역할을 한다. 왜곡된 시선을 바로잡고, 비참한 현실에서 하젤을 깨우려고 한다. 하지만 5년이란 시간 동안 가슴 속 깊은 곳을 점유하고 있던 감정이 쉽게 씻어지지는 않는다. 이 소설의 진면목이 드러나는 대목이 이 세 사람이 자신들의 감정을 풀어내며 대립하는 장면이 아닌가 한다. 사실이 드러난 그곳에 벌어지는 감정의 소용돌이와 그 파국이 약간은 지루하게 느껴졌던 앞부분을 잊고 긴장하게 만든 것이다. 더욱이 작가는 그 결말에 대해 한 가지가 아닌 두 가지로 그려내었지 않은가? 개인적으로 두 번째가 더 마음에 드는 것은 프랑수아즈의 하젤에 대한 감정이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소설을 읽다보면 책 속에 다른 책에 대한 설명을 자주 만나게 되는데 이번엔 스탕달의 ‘파르마의 수도원’이다. 학창시절 명작선에 포함되지 않아 읽지 않았고, ‘적과 흑’은 뭔 내용인지 지금 기억도 못하지만 작가의 설명을 보다보면 읽고 싶은 마음이 샘솟는다. 그리고 이 소설 속 상황과 유사한 장면이 있음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그 외 다른 몇 편의 소설도 이름이나 내용만 알지 아직 읽지 않았음을 생각하면 앞으로 읽어야 할 책이 너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