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기 - 세계가 높이 산
최준식 지음 / 소나무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약간은 어렵지 않을까? 하고 이 책을 읽기 전 생각했다. 하지만 이 생각은 책을 펼쳐들고 읽기 시작한 순간 날아가 버렸다. 쉽고 빠르게 읽히면서 한국문화에 대한 자부에 찬 내용과 만나게 된다. 대부분 아는 내용들이지만 새롭게 다가온 것도 있고, 그냥 단순히 알고만 있던 것들을 새롭게 인식한 것들도 많다. 문기(文氣)라는 생소한 단어에 힘들어 했다면 문화의 기운이라는 풀어낸 단어로 쉽게 다가가면 된다.

문화에는 다양한 모습이 있다. 여기서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은 책과 관련된 것이다. 모두 세 마당으로 구성된 내용을 보아도 역시 책과 관련된 인쇄술, 기록, 문자에 대한 것이다. 모두가 세계 최초, 최고(最古), 최고(最高), 최대(最大) 라는 수식어를 달고 있다. 우리가 직지심경으로 잘못 알고 있는 직지심체요절,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팔만대장경,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훈민정음 등이 그 주인공들이다.

지심체요절이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 박병선 박사가 어떤 노력을 하였는지, 조선왕조실록을 보존하기 위해 임진왜란 당시 선비 안의와 손홍록이 어떤 마음을 가졌는지, 한글이 지금 우리가 쉽게 사용하기 위해 일제 시절 한글학자들이 얼마나 큰 노력을 했는지 많은 지면은 아니지만 읽을 때마다 큰 감동으로 다가온다. 그분들의 노력과 열정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가 얼마나 많은 문화적 유산을 받고 있는지 알기 때문이다. 물론 이 책에서 언급되었지만 그냥 지나간 분들이나 다루어지지 않은 분들의 엄청난 공헌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이 지닌 묘미 중 하나는 현재 유네스코에서 진행하는 세계문화유산과 기록문화유산을 중심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문화유산이 부동산 중심이라면 기록문화유산은 말 그대로 기록을 다루고 있는데 실물이 있어야만 한다고 한다. 그래서 한글이 아닌 훈민정음이 올라가 있다고 한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도 역시 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것들이다. 한마디로 세계가 인정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라는 것이다. 

계가 인정했다고 하지만 왜 라는 의문에 대한 답이 담긴 책이 이 책이다. 최초니 가장 오래된 것 같은 것만이 아닌 그 본래의 가치를 높이 사 인정된 것에 대한 글을 읽다보면 그냥 역사 시간에 배운 하나의 문장이나 단어들이 얼마나 깊이 없이 지나갔는지 알게 된다. 그리고 문화제국주의에서 바라본 환상이나 문화사대주의에서 올려 본 것을 제거하여 그 본래의 가치를 알게 한다. 또 이전에 읽은 소설 ‘대장경’이나 역사서‘사관 위에는 하늘이 있소이다.’ 등이 떠오르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왔다. 얼마 전 신문 등에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문자가 없다는 환상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글자를 몇 개 만든 학자나 재건된 수원성이 세계문화유산에 올라간 것이 ‘의궤’ 때문이었다는 놀라운 사실들은 그 자체로 즐거움을 주었다. 

책 저자의 다른 책이 어떤 모습을 띄고 있는지 모르지만 책 전반에 흐르는 강한 기운으로 유교적 합리주의가 눈에 들어온다. 한국문화에 대한 강한 자부심도 느껴지고, 현 세태에 대한 비판도 담겨 있다. 특히 한글에 대한 부분에 가면 더욱 강해지는데 보면서 동감하지 않을 수 없다. 대통령 후보가 국어와 국사를 영어로 수업하자고 하는 놀라운 현실을 생각하면 이 책의 셋째 마당은 그런 분들이 꼭 읽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