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연극 ㅣ 킴 스톤 시리즈 4
앤절라 마슨즈 지음, 강동혁 옮김 / 품스토리 / 2023년 11월
평점 :
킴 스톤 시리즈 4권이다.
전작처럼 도입부에서 아동 성매매 사건 하나를 해결한다.
이 수사에서 영장 발부를 두고 벌어지는 긴박감은 대단하다.
이 긴박감은 범인의 도주 상황에서 코미디로 전환된다.
무사히 사건을 마무리한 킴의 팀원들은 상부 지시로 웨스털리의 한 장소로 이동한다.
이곳은 인간 시신의 부패를 연구하는 법의학 연구소이다.
극중에서 연구소 소장은 퍼트리샤 콘웰의 <시체농장>을 말하면서 설명한다.
오래 전 이 소설을 읽었을 때 느꼈던 당혹감과 존재 이유가 머릿속을 스쳐지나갔다.
이 법의학 연구소는 기증받은 시신으로 수많은 연구를 한다.
이 연구는 훌륭한 법의학 자료가 되고, 사건 해결의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그냥 한 번 둘러보고 몇 가지 공부하고 가면 될 이곳에서 있으면 안 되는 시체 한 구가 발견된다.
기증된 시신이 아니란 것은 누군가 살해하고 옮겨 놓았다는 의미다.
이제 킴 스톤의 팀원들은 이 사건을 맡아 수사를 진행한다.
먼저 참혹하게 살해된 이 시신이 누구인지 찾아야 한다.
킴 스톤의 예리한 관찰력은 시체에 난 상흔 등에 집중한다.
법의학자는 시체를 해부해서 발견한 정보를 킴 스톤에게 빠르게 전달할 것이다.
가명이 아닌 본명을 알 때 본격적인 수사가 진행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연구소는 사람들에게 시체농장이란 사실을 숨기고 있다.
그런데 누군가가 이곳에 몰래 시체를 가져다 놓은 것이다.
실종자 검색을 통해 본명을 알아내고 가족들을 만나지만 특별한 단서는 발견하지 못한다.
그러다 두 번째 피해자를 그곳 경비원이 발견해서 연락한다.
이 피해자는 아직 죽지 않았다. 입안 가득한 흙은 파낸다.
그녀의 상처 등은 같은 방식으로 살해하려고 한 것임을 알려준다.
이 피해자가 정신을 차려 범인을 알려주면 쉽게 사건이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쉽게 사건이 해결될 리가 없다.
처음에는 언제 깰 지 모르고, 깬 다음은 기억을 상실했다.
다행이라면 그녀의 남자 친구가 나타나 간단한 신상 정보를 제공한 것이다.
이 연쇄살인 사건과 함께 킴의 시선을 끈 미제 사건이 하나 있다.
기자 트레이시가 밥이라고 부르는 손목이 절단된 채 발견된 피살자 사건이다.
처음에는 무시하려고 했는데 킴의 머릿속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시체의 몸에서 발견된 몇 가지 물건을 가지고 추리를 하다가 단서 하나가 떠오른다.
담당 경찰들이 몇 년 동안 찾아내지 못한 것을 킴과 브라이언트가 불과 며칠만에 찾은 것이다.
킴의 뛰어남을 보여주는 동시에 새로운 시각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는 대목이다.
피살자의 본명이 드러났다고 해서 바로 범인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전작들을 감안하면 어떤 식으로 이 사건을 해결하지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드러난 범인의 정체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인물이다.
이번에도 킴의 과거는 하나씩 흘러나온다.
이전 사건에서 마음이 간 대니얼이 이번에도 등장해 킴의 마음을 흔든다.
대니얼의 구애는 브라이언트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이지만 상황이 둘을 방해한다.
사건 해결에 집중하는 그녀는 단서를 계속해서 쫓아다닌다.
독자들은 범인의 이야기를 통해 킴보다 먼저 정체의 일부를 알게 된다.
이 차이가 좁혀지는 순간 범인의 정체가 밝혀지지만 그것만으로 사건이 해결되지는 않는다.
새로운 납치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제는 초를 다투는 문제로 변한다.
그리고 단순하게 생각했던 것과 다른 사실들이 뒤섞이면서 상황은 더 복잡해진다.
마지막 장면에서는 여전히 킴은 고난을 당하고, 불굴의 의지를 발휘한다.
이 시리즈의 다음 이야기에 빨리 달려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