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가 손에 쥐어야 했던 황금에 대해서
오가와 사토시 지음, 최현영 옮김 / ㈜소미미디어 / 2025년 1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처음 만나는 작가다.
천재 sf 작가와 일본 서점 대상 후보작이란 말에 혹했다.
읽기 전에 이 연작 소설집을 sf단편집 정도로 생각했다.
최근 sf 소설의 경우 제목만으로 sf 소설인지 전혀 알 수 없다.
그런데 첫 단편 <프롤로그>를 읽으면서 머릿속에 혼란이 생겼다.
자신이 어떻게 소설가가 되었는지 구직과 연결해서 풀어내었기 때문이다.
이것과 이어지는 또 다른 소설은 <수상 에세이>다.
자신의 소설 창작 방법과 신용 카드 도용을 재밌게 엮었다.
<수상 에세이>를 읽으면서 한국인들도 공감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자신이 원하는 카드사 담당을 힘들게 연결하는 장면 때문이다.
<3월 10일>은 2011년 3월11일에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과 연결되어 있다.
작가는 친구들과 스키를 타러 가기로 했는데 동일본 대지진 때문에 취소했다.
그리고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끼리 전날에 대한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그런데 이상하게 3월 10일에 대한 기억이 하나도 기억나지 않는다.
이 기억을 되찾는 과정을 풀어내는데 상당히 흥미진진하다.
서로의 기억이 뒤틀리고, 왜곡된 채로 이어진다.
현대 기계와 하나의 단서가 잊었던 기억을 되살리는데 나는 왜 마들렌 생각이 더 날까?
어쩌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아직 시작도 못한 나의 행동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소설가의 본보기>는 점성술사와 엮어 이야기를 풀어낸다.
아내를 꼬시기 위해 소설가 오가와를 이용한 친구.
이 친구의 아내가 유명 점성술사의 예언에 따라 회사를 그만 두고 소설가가 되려고 한다.
이것을 막기 위해 친구와 소설가는 녹음기로 상담을 녹음한다.
점쟁이들이 이용한다는 콜드리딩을 하나씩 파헤치는 장면은 상당히 논리적이다.
하지만 능력 있는 점성술사는 교묘한 방식으로 이것을 피한다.
결국 소설가가 자신의 소설에 쓸 목적으로 이 상담에 참여한다.
여기서 재밌는 점은 둘의 공감과 공명, 이런 의견보다 더 앞선 의지에 대한 지적이다.
표제작 <네가 손에 쥐어야 했던 황금에 대해서>는 폰지 사기 이야기다.
소설가로 어느 정도 인지도를 쌓아가는 그에게 친구가 메시지를 보낸다.
학창 시절 그를 좋아하게 된 순간의 에피소드도 간단하게 나온다.
하지만 진짜 이야기는 동창회에서 듣게 되는 그의 현황 이야기다.
상당한 자산을 굴리는 투자가가 되었고, 호화로운 생활을 하는 듯하다.
인스타에 팔로우도 많고, 유료 블로그를 통해 돈을 벌기도 한다.
그런데 이 사실을 알려준 금융권 친구도, 화자도 이 친구에게 투자할 마음은 전혀 없다.
그리고 화자는 이 친구에 대한 검색을 미친 듯이 하기 시작한다.
결국 드러나는 사실과 화자의 상상력이 결합된 마지막 장면은 여운을 남긴다.
<가짜>에서도 이전에 나온 친구들이 다시 등장한다.
이번에는 친구들의 고등학교 일화를 만화로 그리는 만화가에 대한 이야기다.
그냥 평범한 만화가라면 이야기가 되지 않겠지만 파헤칠수록 수상한 점이 많다.
처음에는 친구가 알려준 가짜 롤렉스 시계 이야기인데 그에게는 낯선 분야다.
가짜 시계를 구분하는 법을 배운 후 다시 만났을 때는 다른 시계를 차고 있었다.
그리고 이 가짜 시계를 차고 있었던 일들에 대한 만화를 그렸는데 뭔가 수상하다.
이 만화가에 대한 안티도 상당히 많은데 문제는 다른 곳에서 생긴다.
화자가 이 만화가를 만나 한 이야기들이 자신의 이야기로 바뀌어 나온 것이다.
이 이야기 중 미스터리에 대한 부분은 공감할 부분이 많다.
이 작가의 단편이 기대한 sf 소설은 아니지만 구성과 전개 등이 굉장히 흥미롭다.
출간된 작품이 몇 편 되지 않는데 언제 시간내어 한 번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