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왕의 방패 - 제166회 나오키 상 수상작 시대물이 이렇게 재미있을 리가 없어! 1
이마무라 쇼고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166회 나오키 상 수상작이다.

작가의 댄스 강사 이력도 재밌는데 데뷔 4년 만에 나오키 상을 수상했다.

일본 전국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 소설이다.

성을 쌓아 적의 공격을 막아내는 최고의 방패 새왕.

어떤 방어도 깨뜨리는 총을 만들려는 포선.

이 둘의 대결과 함께 전국 시대의 전쟁을 환상적으로 그려낸다.

포선의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적고 대부분 새왕의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

전쟁의 시선을 무장과 군사들이 아닌 돌을 쌓는 건축가의 풀어내었다.

이 시선의 전환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전장의 모습을 다른 시각에서 보게 한다.


교스케. 자신의 마을이 오다의 군대에 함락되면서 가족과 이별했다.

성주는 백성을 지키지 않고 먼저 도망을 갔다.

겨우 도망친 그가 만난 인물이 바로 당대의 새왕으로 불리는 도비타야 겐사이다.

겐사이가 그를 자신의 마을에 데리고 온 이유는 교스케가 돌의 소리를 듣기 때문이다.

도비타야 석공들은 일본 최고의 실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떼기조, 운반조, 쌓기조 등의 세 개 조로 나누어져 있다.

앞부분은 이 세 개의 조가 어떤 역할을 하는 지 간단하게 보여준다.

겐사이 이후 새왕이 될 교스케는 떼기조부터 다시 일을 배운다.

이 과정을 통해 교스케가 나중에 새왕의 역할을 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되는 조장들이 소개된다.


전쟁의 시기는 사실 석공에게 최고의 돈벌이 시기다.

공성전을 하려면 좋은 석공을 구해 튼튼한 성을 쌓아야 한다.

많은 석공들이 있지만 최고의 가문으로 도비타야를 말한다.

이 소설의 흥미로운 지점 중 하나가 전쟁 도중에 석공들이 성을 보수하는 가카리다.

보통을 성을 쌓고 나면 석공들의 일은 끝난다.

하지만 가카리가 시작하면 전쟁과 함께 그들은 계속해서 성을 보수한다.

화살과 총알이 날아와도 그들은 성의 곳곳을 보수해 최고의 공성전을 펼칠 수 있게 한다.

소설 속에 두 번 가카리가 나오는데 둘 다 긴장감과 긴박감이 대단하다.

물론 이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성의 함락을 완전히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교스케는 무너지지 않는 성을 지어 세상의 평화를 바란다.

이 반대에 있는 포선으로 불리는 겐쿠로는 강력한 무기가 전쟁 억지력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겐지로는 외국의 무기를 연구해 당대 최고의 철포와 대통을 만든다.

그가 만든 철포는 기존의 철포와 달리 비가 와도 사용 가능하다.

이 무기의 등장이 전쟁을 어떤 식으로 변화시키는지는 나중에 나온다.

그리고 겐쿠로의 대단함은 서국무쌍의 배짱과 전술에 의해 더 빛을 발한다.

하지만 그 시대 대부분의 무장들은 새왕이나 포선을 그렇게 높이 쳐주지 않는다.

이것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이 쉴 새 없이 달리게 하는 오쓰 전쟁에서 잘 드러난다.

이 전쟁은 거의 300쪽에 이르는데 대단한 흡입력과 재미를 준다.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전국을 통일하고, 그의 죽음이 불러온 전란을 배경으로 한다.

히데요시가 전국을 통일했을 때는 평화가 지속될 것 같았다.

하지만 조선 침략이 실패하고 히데요시가 죽으면서 일본의 분위기는 바뀐다.

우리가 알고 있던 일본의 역사가 흘러나오면서 잘 몰랐던 역사도 같이 다룬다.

이런 시대에 작가는 새왕이란 존재를 새롭게 부각시키면서 다르게 시대를 돌아보게 한다.

단순하게 보면 새왕와 포선의 방패와 창의 대결이지만 실제는 평화 이야기다.

새왕이 아무리 좋은 성을 지어도 결국 적의 공격에 무너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지키려는 자의 의지와 적의 군세가 어느 정도 맞아야 지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숫자를 뛰어넘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새왕 교스케다.

교스케와 그의 석공들이 보여주는 능력과 의지, 투철한 직업의식은 대단하다.

읽으면서 감탄하고, 일본의 저력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