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말씀만 하소서 - 출간 20주년 특별 개정판
박완서 지음 / 세계사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20년 만의 개정판이다.

수필 한 편과 이해인 수녀님과의 손 편지, 맏딸 호원숙 작가의 글이 덧붙여졌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자식 잃은 엄마의 고통과 슬픔 등은 변함없이 그대로다.

이건 소설도 아니고 수필도 아니고 일기입니다.”는 작가의 심경을 잘 표현한다.

통곡 대신 쓴 것”이라는 문장은 읽는 내내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게 한다.

먼저 아들을 보낸 후 동정하는 사람들을 만나기 싫어하는 감정.

음식을 먹는 것을 거부해서 먹은 것을 토하는 장면들.

딸이 죽었다고 해도 이렇게 했을까? 하는 물음에 놀라는 모습.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것이지만 그 감정에 자연스럽게 공감한다.


박완서의 아들이 죽었다는 것을 한참 지난 뒤에 알았다.

아마 작가가 이 아픔을 어느 정도 받아들인 후 쓴 글과 평을 통해서 일 것이다.

그때만 해도 그냥 무심하게 받아들이면서 그런 사고가 있었구나! 하고 넘어갔다.

어린 내가 이 참척의 아픔을 조금도 느낄 수 없었기에 생긴 반응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나의 경험이 풍부해지면서 조금씩 바뀌었다.

이런 죽음이 얼마나 큰 아픔이자 상실이고 절망적인 것인지.

그래서 이 일기를 읽으면서 그녀의 생각과 행동에 고개를 끄덕이는 순간이 늘어났다.

제3자의 입장에서 빨리 일상으로 돌아오기를 바라지만 당사자는 쉬운 일이 아니다.

아마 다른 딸들이 모두 출가하고 자식을 낳고 살기에 더 그랬을 지도 모른다.

만약 어린 딸들이 있었다면 그 딸들을 위해서라도 더 빨리 일어났을 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녀가 아들을 잃고 떠난 곳은 큰딸의 집이 있는 부산 수영구.

1988년 서울 올림픽이 있었고, 수영만에서는 요트 경기가 있었다.

아파트 창밖으로는 올림픽 요트 경기가 보이고, 어린 손자들은 금메달에 열광하고 있었다.

큰딸은 엄마가 한 숟가락이라도 더 먹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음식을 드린다.

딸을 위해 음식을 먹은 후 몰래 그 음식을 토하는 작가.

아들 사진을 보고 또 보면서 이 세상에 살고 싶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고 비로소 안심한다.

자신이 음식을 제대로 먹고 생의 의지를 느끼고 토하는 것도 이런 마음이다.

아들 잃은 상실에 하느님을 욕하고 원망하는 장면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이런 고통의 시간을 보내면서 그녀는 일상의 한 자락을 잡을 수 있었다.


뛰어난 작가가 쓴 참척의 일기는 그 절절한 아픔마저 멋지게 표현된다.

문장과 단어, 감정의 표현 등이 절제된 채 나타난다.

이 글을 발표한 것도 <생활성서>란 지면임을 생각하면 대단하다.

어쩌면 가장 진솔한 표현이 신을 믿는 자들의 가슴에 가장 와 닿기 때문일 것이다.

자신의 홀로서기에 대해 주변 사람과 딸과 사위와 손자들의 도움을 말한 것은 사실이다.

만약 그녀 혼자 서울 집에 있었다면 어땠을까? 상상도 되지 않는다.

박완서 작가의 환한 웃음을 기억하는 나에게 이 글들은 전혀 다른 느낌이다.

죽는 그 날까지 이 아픔을 완전히 잊지 못했다는 딸의 글은 삶을 그대로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