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셜록 홈스의 모험 ㅣ 클래식 리이매진드
아서 코난 도일 지음, 소피아 마르티네크 그림, 민지현 옮김 / 소소의책 / 2024년 11월
평점 :
1892년에 처음 출간된 아서 코난 도일의 단편소설 모음집이다.
셜록 홈스의 소설을 듬성듬성 읽다 보니 이 소설을 놓치고 있었다.
클래식 리이매진드 시리즈 중 한 권으로 나와 반갑게 선택했다.
그런데 그림체가 이전에 알고 있던 홈스 속 삽화와 많이 달라 어색한 느낌이다.
화가를 통해 검색하니 이전에 다른 출판사에서 다른 번역자로 나온 판본이 있다.
단순히 이 책의 판본만 놓고 보면 상당히 많이 있어 선택의 폭은 넓다.
그리고 정말 오랜만에 홈스의 활약을 보면서 셜로키안의 감탄에 공감했다.
미드 CSI 시리즈를 보면서 알게 된 것이 셜록의 활약 속에 그대로 녹아 있기 때문이다.
열두 편의 단편이 실려 있는데 시간순은 아니다.
이 단편집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첫 단편인 <보헤미아 스캔들>이다.
사건 자체만 놓고 보면 별로 대단하거나 놀라운 추리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홈스의 실패 중 하나를 다룬다는 점에서 신선하게 다가왔다.
홈스의 오만과 방심이 빚어낸 실패담인데 상대의 놀라운 관찰력도 한몫했다.
다른 소설 등에서 <빨강머리연맹>에 대한 것을 본 적이 있다.
이 단편을 읽으면서 익숙하게 느꼈던 것은 이와 비슷한 내용을 다른 곳에서 봤기 때문일 것이다.
누군가가 아무 대가 없이 선행을 베풀었다면 의심해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결론을 이야기하면 이 연맹 덕분에 누군가는 이익을 분명히 봤지만.
<신랑의 정체>는 쉽게 범인의 추정이 가능했는데 아마 어딘가에서 본 듯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대 영국 여성들이 어떤 분위기 속에서 살아갔는지 잘 보여준다.
<보스콤 계곡의 비밀>은 이것과 비슷하지만 다른 결혼 문제를 다룬다.
이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홈스가 보여주는 수사 방법은 너무나도 낯익은 CSI의 모습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홈스가 보여준 인간적인 모습과 관대함은 또 다른 느낌을 준다.
<다섯 개의 오렌지 씨앗>은 미국의 KKK가 등장한다.
홈스가 의뢰인을 보호하지 못하고 죽게 만들지만 그의 강력한 의지가 돋보인다.
그런데 마지막에 알려주는 정보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이라 약간 어리둥절했다.
<입술이 뒤틀린 사내>는 상당히 특이한 전개와 마무리다.
갑자기 사라진 남편, 남편의 실종을 호소하는 부인.
혹시 남편이 죽었을까 걱정하는 아내와 그 사건의 이면을 파고드는 홈스.
쉽게 단서를 찾지 못하다 어느 순간 찾아낸 단서와 놀라운 반전은 아주 흥미롭다.
<녹주석 보관>은 보물이 사라진 사건 속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가 돋보인다.
아버지를 실망시킨 아들, 이 아들이 보석을 훔쳤다고 생각하는 아버지.
집 안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보석, 이 사건을 듣고 직관적으로 범인을 알아챈 홈스.
관찰과 추리로 범인을 찾아냈다고 해도 몸을 움직여 사건을 해결하는 홈스.
엇갈린 감정과 탐욕, 뒤틀린 욕망 등은 인간의 신뢰가 얼마나 허약한지 보여준다.
<얼룩무늬 띠의 비밀>은 예상한 결과이고, 다른 유명한 단편을 떠올리게 한다.
<어느 엔지니어의 엄지손가락>은 아주 낯익은 설정인데 뜬금없이 손가락 봉합수술 생각이 났다.
<귀족 독신남>이야기도 읽다가 바로 이해가 되었지만 반만 맞추었다.
<푸른 카벙클>은 보석 도둑 방식이 익숙하지만 그 과정이 재밌다.
기이한 사건과 상황을 따라가는 과정이 알지만 흥미롭게 펼쳐진다.
<너도밤나무 집>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띄엄띄엄 떨어진 집에 대한 지적이다.
이런 곳에서 벌어진 범죄는 알려지지 않아 더 무서울 수 있다는 부분이다.
어느 순간 인적 없는 주택 등을 보면 평온과 여유보다 범죄의 한 자락을 생각한다.
현대 범죄 과학수사 기법들이 하나씩 녹아 있어 읽으면서 감탄했다.
잊고 있던 홈스의 재미를 다시 발견했고, 다른 책도 다시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