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즈코 상 : 그럼에도 엄마를 사랑했다
사노 요코 지음, 황진희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나의 엄마 시즈코상>의 개정판이다.

출판사도 바뀌었고, 번역자도 바뀌었다.

사노 요코가 암 선고를 받은 후 잡지에 연재한 것을 모아 출간한 것이다.

이 책의 첫 한국 번역판은 2010년 4월에 나왔고, 작가는 동년 11월에 별세했다.

사노 요코의 책들을 몇 년 전부터 읽었지만 자주 이 사실을 까먹는다.

출간된 목록을 검색하다 보면 내가 읽은 책들은 대부분 사후 출간된 것들이다.

이번 이 에세이를 통해 이 작가의 다른 에세이에 더 관심이 생겼다.

기회가 된다면 더 읽고 싶은 데 그 이유는 너무나도 솔직한 고백 때문이다.


네 살 즈음 요코가 엄마의 손을 잡았는데 엄마가 혀를 차면서 손을 뿌리쳤다.

이 경험이 두 번 다시 엄마 손을 잡지 않겠다는 결심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그녀와 엄마 시즈코 상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과거 속으로 들어간다.

도쿄대 출신 아버지, 2차 대전 당시 중국에서 유복하게 살았던 시절 이야기.

패망과 함께 귀국하면서 경험했던 일들과 오빠와 남동생의 죽음.

오빠가 죽었을 때 망연자실한 엄마의 모습과 다른 남동생이 죽었을 때 대비되는 모습.

일곱 명을 낳았지만 네 명만 살아 남았는데 장녀가 사노 요코다.

그녀가 엄마 밑에서 어떤 삶을 살았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 중 하나가 <오싱>과 비교한 부분이다.

<오싱>의 주인공이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였다고 한다.


엄마의 폭언과 폭행은 그녀가 자라는 동안 멈추지 않는다.

시골에 살 때 물통을 채우는 일을 게을리하면 바로 구타로 이어진다.

귀환 후 풍족하지 못한 살림에도 엄마의 근검 절약하는 모습과 깔끔함은 집을 안정적이게 한다.

엄마의 뛰어난 요리 실력은 몇 십년이 지난 후에도 친구들이 말할 정도다.

하지만 사노 요코와 그 여동생들은 집이 한 번도 그리운 적이 없는 삶을 살았다.

이 문장을 읽으면서 그 삶이 더욱 깊숙하게 다가왔다.

그리고 세 딸은 각자 다른 성격과 행동으로 치매에 걸린 엄마를 돌본다.

각자의 삶 때문에 엄마를 요양원에 보내는데 이때 그녀들의 눈치는 요코의 아들보다 못하다.

아니 어쩌면 딸들이 알면서도 그런 행동을 했는지도 모르겠다.


아버지와 저녁에 싸우지만 속궁합이 좋았을 것이란 작가의 생각.

일곱 명의 아이들이 태어나고, 그녀가 가장 정을 둔 오빠의 죽음과 진솔한 속내.

자라면서, 성인이 된 후에도 그녀에게 엄마는 불편하고 용서할 수 없는 존재다.

이런 엄마이지만 아버지 사후에 주변의 도움을 받았다고 해도 네 명을 모두 대학에 보낸다.

지금보다 더 대학가기가 어려운 시절임을 생각하면 대단한 일이다.

하지만 작가는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스스로를 자책하면서 괴롭혀왔다.

이것이 해소되는 계기가 엄마의 치매라는 것은 재밌는 대목이다.

자기 집에서 며느리에게 쫓겨난 엄마, 자업자득이란 생각까지 한 작가.

생각지도 못한 순간 튀어나온 “미안해요”란 표현과 “네가 잘못한 게 아니란다.”란 엄마의 말.

그러다 갑자가 누군가에게 용서받았다고 느끼고, 온 세상이 다른 모습으로 온화해졌다고 느낀다.

이때부터 그녀가 치매에 걸린 엄마를 찾아가는 것이 편해졌다고 한다.


읽다 보면 내내 시즈코상에 대한 험담으로 가득하다.

좋은 이야기도 나오지만 결국은 허세와 거짓으로 가득한 장면들만 기억에 남는다.

작가가 경험한 일들과 엄마와 엮인 이야기들은 결코 즐거운 일이 아니다.

자매들이 어떻게 엄마를 생각하는지 보여주는 대목들은 성격에 따라 갈린다.

유명 작가인 요코가 엄마의 비싼 요양원 비용을 내고 말하는 대목은 너무 인상적이다.

엄마를 돈으로 버렸다는 그 말은 너무 가슴에 와 닿는다.

이런 그녀도 이미 환갑을 지났고, 치매에 걸린 엄마에게 이 말은 한다.

늙은 부모님과 젊지만 늙은 자식의 모습은 이제 결코 낯설지 않다.

부제인 ‘그럼에도 엄마를 사랑했다’는 극적 화해의 결과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