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로미어 - 제10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작
박성신 지음 / 북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10회 교보문고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작이다.

더불어 작가의 다른 소설을 재밌게 읽었기에 선택했다.

전작처럼 뛰어난 가독성과 재미는 기존에 나온 다른 소설로 눈을 돌리게 한다.

매력적인 캐릭터인 두 콤비와 마지막 장면의 실험체를 엮은 다른 이야기를 기대하게 한다.

이런 기대는 전작에서도 한 번 한 적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노화의 종말을 둘러싼 이 시대를 불과 2년 후로 잡은 것에 놀란다.

현재 과학 기술에서 이 가능성이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가까운 시기는 소설 속에서 현실과 떨어져 새로운 시간으로 작용한다.

뛰어난 스토리텔러의 모습을 보여주고, 쉼 없이 달려가게 한다.


생체 시계를 50년 이상 되돌릴 수 있는 약이 있다면 어떻게 할까?

많은 노인들이 이 약에 환호하면서 어떻게 든 먹으려고 할 것이다.

그런데 국가가 노화종말법을 만들어 75세 이상 노인에게 이 약을 준다고 한다.

몸이 아프지 않은 노인들은 없고, 이 약을 먹고 젊어지려는 노인들은 무수히 많다.

하지만 이 약은 아직 시중에 풀리지 않았고, 완전한 임상을 모두 거친 것도 아니다.

문제는 하나 더 있는데 치매 등을 앓고 있는 중증질환 환자는 투약 대상에서 제외다.

작가는 교묘하게 이 시대의 세대갈등과 신분갈등을 넣어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그리고 현실적이지 않은 신체능력을 가진 존재를 등장시켜 재미를 더한다.

이 비현실적 존재는 과학과 우연의 부산물이다.


형사 현묵은 치매를 앓고 있는 어머니를 홀로 돌본다.

요양원에 넣으면 편할 수 있지만 아직 결단을 내리지 않고 있다.

노화종말법이 시행된다고 해도 어머니는 제외대상이라 젊어질 수 없다.

집에서 보호사를 불러 어머니를 돌보게 하는데 결코 쉽지 않다.

보호사와 어머니의 갈등, 점점 높아지는 비용 등이 그를 더욱 힘들게 한다.

이때 살인 사건이 하나 발생하는데 의혹으로 가득하다.

온몽의 뼈가 열세 군데 부러진 채 사망한 남자인데 흉기가 보이지 않는다.

물론 독자들은 이 피해자가 어떻게 죽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시체가 어떻게 방에서 발견지까지 옮겨졌는지 의문이다.

한 소년의 증언이 있지만 너무 비현실적이라 믿기 힘들다.


기해는 사회복지사로 힘들게 살고 있다.

그녀에게 아버지의 죽음이 전해지고, 홀로 장례식을 치른다.

아버지가 죽으면서 보낸 물건들을 통해 아버지가 죽기 전까지 했던 연구에 대해 알아간다.

하지만 그녀가 아버지가 죽은 곳과 남긴 물건을 찾았을 때 그녀의 집은 낯선 누군가가 다녀갔다.

아버지가 남긴 USB 속 자료를 보기 위해 함들게 암호를 풀어낸다.

15년 전 자신을 두고 떠난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단서로 작용한다.

그리고 그녀가 가진 USB를 훔쳐가는 도둑이 나타난다.

암호를 푼 그녀가 본 자료는 문외한에게는 단순한 숫자의 나열일 뿐이다.

그녀는 조심하면서 이 문서를 해독하는데 도움을 줄 사람을 찾는다.


초인적인 힘을 가진 범인은 또 다른 살인을 저지른다.

두 번째 피살자를 통해 경찰은 이 인물이 하나의 사건으로 묶여 있는 것을 발견한다.

이 둘은 젊음의 물 사기 사건의 주범들이었다.

이 사기의 물은 마신 노인들은 다른 질병을 얻어 빨리 사망했다.

이 사기단의 당사자들이 모두 다섯 명인 것을 감안하면 아직 세 명이 더 남았다.

누군지 초반에 쉽게 예측 가능한 그는 자신의 초인적 능력으로 이들을 찾아간다.

그리고 이런 그를 뒤쫓는 HL코리아의 직원들이 있다.

이들은 총까지 들고 다니면서 실험체를 잡으려고 한다.

개인적으로 이들의 활약이 약하게 묘사된 것은 조금 아쉽다.


연쇄살언빔은 초인적인 능력으로 살인을 이어간다.

비현실적인 존재를 알게 된 현묵은 이 사건의 연관성을 파고든다.

젊음의 물 사기 사건 당시 자료가 흘러간 곳도 알게 된다.

하지만 그가 알아낸 사실이 언론에 발표되거나 더 깊은 관계자 조사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한다.

젊음을 얻어 자신들의 권력을 더 오랫동안 유지하고 싶은 자들의 반대 때문이다.

현묵의 사정을 알고 오히려 그를 유혹하려고 한다.

그들은 이런 혐오를 부채질하고, 부작용 없는 젊음을 얻고 싶어 한다.

작가는 여기서 청년들의 노인 혐오를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노인 돌봄의 힘듦을 말한다.

수많은 유혹 앞에 너무나도 나약한 사람들을 보여준다.

점점 늙고 병들어 가는 육신에서 젊음을 되찾고 싶어하는 욕망을 솔직이 드러낸다.

개인적으로 이런 이야기를 읽을 때면 더 풍성한 논쟁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