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에게 진실이라는 거짓을 맹세해
헬레네 플루드 지음, 권도희 옮김 / 푸른숲 / 2024년 9월
평점 :
작가의 전작 <테라피스트>를 재밌게 읽었다.
전작의 기억이 조금 희미해졌지만 재미는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 책을 선택한 이유 중 가장 큰 것이고, 믿고 보는 북유럽 심리 스릴러다.
문제는 책 제목이 계속 입 속에서 헛돌아 제대로 외워지지 않았다.
‘진실이라는 거짓’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궁금했다.
살인 사건을 다루지만 경찰이 주인공이 아니라 피살자의 불륜녀가 화자다.
당연히 수사 과정보다 불륜녀 리케의 심리 상태가 중심에 놓여 있다.
그녀의 심리를 따라가다 보면 혼란과 불안과 죄책감 등이 뒤섞여 흘러나온다.
처음 나오는 이야기를 읽고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았다.
요르겐을 처음 만나는 장면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했다.
다른 색 바탕으로 구분한 이야기는 리케가 경찰에게 보낸 요르겐과의 만남에 대한 기록이다.
작가는 이 이야기를 각각의 장 사이에 집어넣어 사건의 진행과 속도를 맞춘다.
불륜에 빠진 리케가 요르겐과 어떻게 불륜 관계가 되었고, 그와의 만남이 준 의미가 나온다.
같은 건물 내에 살면서 그들이 나누는 불륜은 아주 위험할 수밖에 없다.
자신들은 숨긴다고 하지만 그 흔적은 생각보다 많은 곳에서 드러나고 있었다.
이런 상황도 리케가 경찰 수사 등을 받고, 이웃과 이야기하면서 알게 된 것이다.
이 기록이 늘어나면서 리케가 느낀 즐거움과 행복과 불안이 뒤섞여 표현된다.
리케가 시어머니를 만나고 온 날 살인 사건이 알려진다.
작가는 처음에는 그 피살자의 이름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않는다.
이 소설에서 여성에 대한 인칭을 그녀라는 여성형이 아니라 ‘그’로 모두 통일했다.
이 사실을 알기 전에는 ‘그’라는 인칭 대명사의 성별을 문맥으로 파악해야 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익숙해지면서 불편함이 조금씩 가셨지만 아직 나에겐 익숙하지 않다.
피살자가 요르겐이라는 사실이 알려지고, 리케의 오열이 숨겨진 채 이어진다.
자신이 불륜 상대란 사실을 말할 수 없기에 더욱 억제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경찰 수사가 점점 치밀해지면서 그녀는 가족을 방어하기 위해 자신의 불륜을 알린다.
그때 담당 형사는 그녀의 학창 시절 친구의 연인이었던 잉그빌드다.
이 살인 사건 이전에 동네에는 고양이를 잔혹하게 죽이는 사건이 있었다.
작가는 이 살묘 사건을 집어넣어 두 사건 사이의 연관성을 살짝 이어둔다.
잔혹한 살묘 사건의 이면에 어떤 의도가 있는지 알려질 때 조금 놀랐다.
약간 혼란스러운 상황이지만 독자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요르겐을 둘러싼 수사가 깊어지고, 이웃 간에 대화가 오가면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진다.
이 과정에 리케의 불안감이 점점 높아지고, 불면의 시간은 길어진다.
혹시하는 마음에 남편 오스먼드와 딸 엠마를 보호하려는 마음이 강해진다.
경찰은 이 건물 입주자 남자들이 함께 간 여행의 다툼에 주목한다.
여기에 대한 설명은 그 나라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완벽하게 이해되지 않았다.
경찰 잉그빌드는 리케에게 남편에게 불륜 사실을 고백하라고 말한다.
하지만 리케는 남편과 헤어지는 것이 불안해 감히 말을 내뱉지 못한다.
그녀가 주저하는 동안 그녀가 놓친 것들이 하나씩 튀어나온다.
딸 엠마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없었는지, 가족에게 무관심했는지.
이 소설 후반부에 자신은 남들을 다 속였다고 생각한 것을 강하게 현실인식으로 드러낸다.
작은 단서 하나가 그녀가 생각한 성벽의 틈을 강하게 벌린다.
뛰어난 가독성으로 리케의 심리를 섬세하게 표현한다.
마지막 장에서 반전을 빚어내는데 그 열린 결말이 아주 멋지다.
내가 가진 의문 몇 가지가 거기서 다루어졌고, 문제가 될 것 같은 장면이 그랬다.
나에게 진실이었던 것이 거짓이 되는 순간, 진짜 진실이 문을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