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과 부동명왕 ㅣ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24년 9월
평점 :
미시마야 시리즈 신작이다.
이 시리즈를 잘 몰라 찾아보니 먼저 여러 권이 나와 있다.
집에 잘 찾아보면 한두 권 정도는 있을 것 같다.
책 속에서 괴담을 듣는 방의 이름이 흑백의 방이란 것을 보고 제목 하나가 떠올랐다.
미미 여사가 최근 에도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많이 내어 시리즈가 헷갈린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읽었던 소설들도 마찬가지로 에도 시대 배경이었다.
전편들을 먼저 보았다면 좀더 재밌게 이 소설을 읽을 수 있었을 테지만 읽지 않아도 상관없다.
전편과 이어지는 괴담이 아니라 각각 하나의 이야기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전에는 어떤 괴담들이 나왔을까 하는 호기심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는다.
네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분량은 제각각이다.
괴담을 듣는 도미지로는 오치카의 산달을 맞아 부정을 탈까봐 괴담 자리를 멀리한다.
그런데 이야기꾼이 오치카에게 힘을 빌려줄 수 있다는 사람을 소개한다.
이 사람이 가져온 것이 괴담과 바로 이상한 모습의 부동명왕 상이다.
그녀는 사랑한 남자의 아이를 가졌지만 낙태한 오나쓰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오나쓰에게는 자랄 때 큰 도움이 된 이모가 있었는데 아이를 낳지 못했다.
이모의 과거사와 자신의 불행한 현실과 그 시대의 인식의 한계가 엮여 이야기가 풀려나온다.
자신과 동생을 키워준 이모가 죽었을 때 보여준 아버지의 말과 태도는 충격 그 자체다.
오나쓰는 집을 나와 이모의 무덤을 정성을 다하기로 결심한다.
이때 한 노인의 도움으로 쇠의 기운을 억제하기 위한 청과를 심는다.
청과로 쇠의 기운을 빼낸 산에서 농사를 지어 자립의 기틀을 마련한다.
그녀의 삶을 알고 있는 여자들이 찾아오면서 쇠락한 산 속 동천암에 사람들이 모인다.
이 여성들은 결혼 전 아기를 가졌거나 아이를 가지지 못한 여성들이다.
심한 시집살이에 지쳐 도망치고, 자식 잃은 죄를 뒤집어쓴 여성들이다.
사람들이 모여 스산한 산사의 분위기에 활기는 차지만 이런저런 문제도 생긴다.
이 산을 개간하다가 발견한 것이 바로 부동명왕 상 우린보 님이다.
이 괴담을 통해 작가는 이 시대의 여성들이 겪은 불행과 불안, 공포 등을 잘 보여준다.
이 이야기는 단지 일본만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 더 가슴에 울린다.
<청과 부동명왕>은 이런 여성들의 이야기와 오치카의 출산이 맞물려 있다.
<단단 인형>은 할아버지에게 들은 옛 이야기와 괴담이 엮여 있다.
성공한 된장 가게의 둘째 아들이 도미지로에게 자기 집안의 괴담을 이야기한다.
이 과정에 이 억압된 신분 사회의 극단적인 문제점이 그래도 드러난다.
훌륭한 관리가 위에 있을 때는 잘 몰랐던 것이 한순간에 모든 것이 바뀐다.
상식의 선을 넘어선 그들의 살육과 약탈은 실제 믿기 힘들 정도다.
자신들의 약탈과 살육을 감추기 위해 산 길목 곳곳을 막아둔 것도 놀랍다.
이 위기와 위험을 벗어나기 위한 노력과 사람들의 도움은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죽음을 막을 수는 없지만 사실을 밖으로 알리려는 그들의 노력이 먹먹하다.
그리고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넘긴 여성의 희생과 그 후의 삶.
인형 만들기를 원했던 그녀가 탈출해 이 사실을 알린 이에게 선물로 준 단단 인형.
이 인형의 신묘한 능력이 만들어낸 기묘한 이야기들이 재밌게 어우러져 있다.
<자재의 붓>은 가장 짧고 이야기 자체가 그렇게 신선하게 다가오지 않았다.
다만 이야기의 끝에 드러난 몇 가지 공포스러운 이야기와 결과물이 인상적이었다.
마지막에 나온 <바늘비가 내리는 마을>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마무리라 놀랐다.
역시 이 시대의 문제를 먼저 이야기하면서 본격적인 괴담으로 들어간다.
괴담이라고 하지만 특별한 것이 전혀 없는 산속 마을의 이야기다.
산밖에서 고아나 버려진 아이들을 데리고 와 둘을 한 조로 만들어 키운다.
화자는 좋은 가게에서 사환으로 성장하다 이 마을에 오게 되었다.
높은 나무 위에 있는 특별한 새의 깃털과 알을 모아 비싸게 판매하는 마을이다.
이 마을은 아이들이 어느 정도 자라면 보조금을 주고 마을 밖으로 내보낸다.
풍족한 생활에 만족한 아이들은 나가길 거부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리고 산신의 가호를 받는 이 마을 사람들이 조심해야 하는 바늘비 이야기를 한다.
이 바늘비를 맞으면 사람 몸에 구명이 난다는 것이다. 뭐지?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 바늘비의 정체는 마지막 장면에서 드러나고, 평온한 듯한 마을의 실체도 밝혀진다.
이 이야기와 함께 도미지로의 마음 속에 있던 그림에 대한 속내가 드러난다.
굉장히 매력적인 이야기인데 이 시리즈 시간 나면 역주행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