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의 고해소 - 제3회 K-스토리 공모전 대상 수상작
오현후 지음 / 팩토리나인 / 2024년 9월
평점 :
제3회 K-스토리 공모전 대상 수상작이다.
처음 만나는 작가이고, 그의 첫 출간작인 듯하다.
제목을 처음에 잘못 읽었는데 ‘고해소’는 성당에서 신자들이 고해를 하는 장소다.
주인공 둘 중 한 명이 신부이기에 이 장소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나의 제목 오독이 늘어나는 것은 집중력 부족과 욕심 과잉 때문이다.
물론 이것은 책을 읽으면서 바로잡을 수 있지만 늘 아쉬운 부분이다.
그리고 첫 장을 읽고 난 후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추리보다 공포였다.
아이들의 장난과 그때 얻은 무전기 등이 공포 소설이나 영화의 이미지와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이 소년들과 연관된 미제 사건과 이어지면서 분위기가 바뀐다.
30년 전 세 명의 소년이 산 속에서 갑자기 사라졌다.
언론은 이 사건을 ‘주파수 실종 사건’이라고 부른다.
단순히 사건 개략만 봤을 때 ‘개구리소년 사건’이 떠올랐다.
산속으로 들어가 사라진 아이들이란 부분과 나중에 발견된 시체의 공통성 때문이다.
하지만 소설은 이 실종 사건에서 홀로 돌아온 소년이 한 명 있었다.
바로 성당의 신부인 성준인데 그는 그 당시 기억을 잃은 상태다.
개인적으로 성준의 이야기에 아쉬운 부분이 있다.
그 중 하나가 그의 아버지와 관련해서 더 풍부한 이야기를 풀어내지 못한 것이다.
교회 목사인 아버지와의 대립, 기억 상실 등과 엮으면 더 깊은 심리 묘사가 펼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당시 사건의 당사자가 성준이었다면 이 사건의 담당 형사는 용훈이다.
뇌물 수수 혐의로 경찰 옷을 벗게 된 그에게 한 통의 편지가 오면서 반전의 기회가 생긴다.
이 편지에는 30년 미제 사건인 ‘주파수 실종 사건’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편지를 보낸 당사자는 민간 교도소의 재소자다.
그런데 이 편지를 보낸 인물은 편지를 보내기 전에 이미 죽었다.
편지를 보낸 이유는 용훈이 이 사건이 있었던 마을 출신과 영향을 받았다 란 인터뷰 내용 때문이다.
용훈은 편지를 읽고 그 속에 숨겨져 있던 비밀을 파헤쳐 아이들의 시체를 찾는다.
그런데 실종된 세 명이 아닌 두 명의 시체 밖에 없다.
그 한 명은 어디에 있을까? 이 편지를 보낸 사람은 어떻게 이 사실을 안 것일까?
용훈은 이 사건을 해결해야만 경찰 옷 벗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용훈의 절박한 마음은 사건 관련자 사진을 보다 과거의 기억을 떠올린다.
바로 이 사건의 유일한 생존자이자 30년 전 유일한 중학교 친구였던 성준이다.
신부가 된 성준은 아이들의 시체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에 혼란을 느낀다.
그리고 그의 고해소 앞에서 늘 주저하는 소녀가 한 명 있다.
이 소녀가 눈에 밟히고, 용훈과의 만남은 그의 마음을 더욱 복잡하게 한다.
반면에 성준에게서 특별한 단서를 얻지 못한 용훈은 편지를 보낸 교도소로 간다.
이 교도소 재소자 모두를 인터뷰해서 편지 발송인을 찾고, 사건도 해결하겠다고 생각한다.
적지 않은 재소자가 있는 이 곳에서 그는 반드시 범인을 찾아내야만 한다.
재소자들과의 인터뷰, 용의자 범위의 축소 등이 진행된다.
용훈은 교도소에서 재소자들과 심리 대결을 펼치면서 한 발 나아간다.
반면에 성준은 고해소를 찾아온 의문의 남자 때문에 심리적 공포를 느낀다.
이 둘이 교차하는 과정 속에 의혹의 그림자는 더욱 짙어진다.
누가 범인일까? 사건의 이면에 숨겨진 비밀은 무엇일까?
성준이 기억을 상실한 것은 왜일까? 고해소에 온 남자의 정체는?
고해소 앞에서 서성인 소녀의 기이한 행동은 무엇 때문일까?
사실 소녀에 대한 부분은 후반부에 명확하게 나오지 않아 계속 찜찜하다.
그리고 밝혀지는 진실은 의도적인 중첩으로 약간 복잡하게 이어진다.
완벽하게 사건이 밝혀졌을 때 명확해졌지만 여운은 조금 부족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 힘이나 구성 등은 흡입력이 대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