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슭에 선 사람은
데라치 하루나 지음, 김선영 옮김 / 북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을 수놓다> 이후 두 번째 읽는다.

전작도 상당히 재밌게 읽었는데 이번 소설도 마찬가지다.

다름에 대한 작가의 생각들이 이번에도 잘 녹아 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보통’과 ‘당연’에 새로운 시선을 던진다.

지난 번에 읽은 소설이 가족의 문제를 다루었다면 이번에는 타인과의 관계에 집중한다.

연인이었던 두 남녀의 이야기를 일기처럼 보여주면서 엇갈린 감정의 원인에 다가간다.

그리고 소설 속 소설<깊은 밤의 강>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한다.

제목도 그 소설의 한 문장에서 발췌한 것이다.


기요세와 마쓰키는 연인이었다.

하나의 사건으로 서로 다툰 후 몇 달 동안 연락을 하지 않고 있었다.

카페 점장인 기요세는 매장과 직원 관리 등으로 아주 바쁜 생활을 하고 있다.

이때 마쓰키가 크게 다쳐 의식불명 상태란 전화를 받는다.

병원으로 달려가 친구 이쓰키와 싸우다 떨어져 큰 부상을 입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이 장면을 본 사람을 이쓰키의 연인인 마오 씨다.

경찰 수사도 이루어지는데 상황 자체가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녀에게 연락이 온 것도 비상연락처로 그녀의 전화번호를 적어 놓았기 때문이다.

가요세의 전화에 마쓰키의 부모가 보여준 반응은 아들이 아닌 타인 같다.

약혼자라고 속인 그녀는 의식불명의 마쓰키를 매일 면회하고 혼잣말을 한다.


이야기는 기요세와 마쓰키의 이야기가 교차한다.

기요세와 마쓰키가 사귀게 된 상황 이야기 속에 여성이 아니면 느끼질 못할 두려움이 잘 표현되어 있다.

취객에게 휘롱 당하는 장면에 나타나 그녀를 도와주는 게이타와 그의 일반적인 남성적 표현.

여성들이 느끼는 공포에 대해 알 지 못하는 남성들에 작은 돌을 던진다.

이 장면을 보면서 나를 포함한 남성들이 얼마나 여성이 느끼는 공포에 둔감한 지 알 수 있다.

이후 이 둘은 연인으로 발전하지만 마쓰키는 기요세의 문자에 바로 답하지 않는다.

사연을 제대로 알기 전이라 이 남자가 다른 여자와 바람을 핀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기요세가 마쓰키의 집에서 그의 일기를 발견하면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진다.

그녀가 오해한 한 여성에 대한 편지의 진실도 같이 드러난다.


마쓰키에게는 어린 시절부터 아주 친했던 친구 이쓰키가 있다.

함께 싸우다 고가에서 떨어졌다는 그 친구다.

하지만 마쓰키의 이야기를 통해 <깊은 밤의 강> 속 주인공과 비슷한 상황을 알게 된다.

한때 마쓰키는 이쓰키의 발을 보고 살아가고 싶다는 표현을 할 정도로 친한 친구다.

실제 이쓰키는 난독증이 있어 글을 제대로 쓰지도 읽지도 못한다.

이런 사실을 숨기고 살아갔는데 한 여성을 사랑하게 되면서 글을 배우고 싶어 한다.

기요세가 발견한 노트에 어린 아이가 쓴 듯한 글자들이 있는 이유다.

그리고 이런 이쓰키를 조금은 방치한 듯한 엄마의 모습이 나온다.

둘이 도시락 가게를 하면서 생활하는데 이들에게는 이들의 사연이 있다.

이런 이쓰키를 매혹시킨 존재가 바로 마오다.


처음에 두 여성의 행동과 삶에 선입견을 가지고 봤다.

한 명은 기요세가 점장으로 있는 시나가와 씨다.

그녀는 두 가지 일을 하지 못해 문제를 만들고, 정론을 펼쳐 상황을 악화시킨다.

정리도 제대로 못하고 시간도 정확하게 지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읽으면서 왜 그녀를 해고하고 새로운 사람을 뽑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기요세가 시나가와에 대신 업무를 부탁할 때 그 이유가 드러난다.

결함이라고 생각한 것이 ADHD인 특성이란 사실을.

이 사실을 두고 둘이 나누는 대화 속에 우리가 흔히 가지고 있는 선입견과 편견이 드러난다.

마오 씨에 대한 것도 사실을 좀더 알고 난 후 다른 시각을 가지게 된다.

그렇게 많은 분량은 아니지만 그 속에 담고 풀어낸 이야기는 그 이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