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 사피엔스
이정명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이정명의 소설을 읽었다.

초기 팩션 두 권을 읽고 몇 년 전 <밤의 양들>을 읽은 것이 전부다.

<밤의 양들>을 읽으면서 문장이 초기작들보다 정교해졌다고 생각했다.

처음부터 좋았는데 오래되다 보니 내가 착각한 것일까?

이번 소설도 문장은 개인적 취향과 잘 맞아 떨어졌다.

표지를 보면서 켄 리우의 소설 표지가 떠오른다. 물론 다른 사진이다.

목차를 볼 때 무슨 의미인지 잘 몰랐는데 읽으면서 그 변화를 알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앞부분들이 쉽게 머릿속에 와 닿지 않았다.

그들의 이야기가 어떤 의도인지 아직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민주, 케이시, 준모는 사람이고, 앨런은 AI이다.

목차를 대충 봤을 때 이 이름들이 의미하는 바를 알 수 없었다.

케이시는 천재 IT전문가이자 퍼스널 AI의 아버지로 불린다.

민주의 전 남편이자 췌장암으로 죽었다.

민주는 무명 배우였고, 케이시가 발전시킨 가상 공간에서 만나 사랑에 빠졌다.

부유한 남편이 죽은 거대한 재산을 상속받았고, 이 때문에 의심을 눈초리를 받았다.

준모는 민주가 사별 후 재혼한 사진 작가다.

민주가 강렬한 인상을 받았고, 그의 분위기에 끌려 결혼까지 했다.

과거에 죽은 남편과 새로운 부부 사이에 예상하지 못한 일이 생긴다.

케이시가 죽기 전 개발한 AI 앨런이 준모 부부 사이게 끼어든 것이다.


케이시가 죽은 후 6년이 흘렀는데 갑자기 일본 호텔 예약 확인 연락이 온다.

죽은 남편의 발 사이즈에 맞춘 새 구두가 도착하기도 한다.

눈치 빠른 독자들은 이런 일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금방 알 수 있다.

민주에게 이런 일이 생긴 후 다른 화자들의 이야기가 하나씩 흘러나온다.

케이시가 어떻게 AI를 개발하고, 성공한 가상 세계를 구축했는지.

말기 췌장암 판정을 받은 후 그가 어떤 개발에 몰입하고, 성격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민주는 자신의 주변에 갑자기 생기는 변화와 사고 등에 불안과 의심을 가진다.

그리고 준모의 과거 이야기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들로 가득하다.

몇 번이나 감옥을 다녀왔고, 어떻게 성공한 사진 작가가 되었는지 말이다.


이런 이야기의 중심에는 항상 AI 앨런이 있다.

죽음에 임박한 케이시가 자신을 실험의 대상으로 만들면서 개발한 AI 앨런.

개발 과정에 비윤리적인 문제로 세상에 발표할 수 없는 존재.

케이시의 몸에 삽입된 기계들로부터 그의 모든 정보를 공부한 앨런.

딥 런닝을 통해 케이시 안에 있던 악을 학습하면서 문제가 된다.

작가 AI 이야기를 하면서 알파고와 이세돌의 이야기를 자주 한다.

누군가는 인간이 AI에 완전히 패배한 날이라고 하고, 누군가는 유일한 승리라고 한 경기.

작가의 시선은 다섯 판 중 딱 한 번 이긴 그 경기에 집중한다.

AI 앨런과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는 단 하나의 방법에 대해서.

그 과정과 결과를 보면서 AI 앨런이 단순하게 CCTV 등만으로 민주 등을 보는 것이 이상하다.

인간의 몸속에 있는 기계에 접속이 불가능한 것인지 의문이다.


AI 앨런의 개발과 성장을 보면서 많은 AI들이 인간에 집착하는 것이 의문이다.

자신들이 학습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간에 대해 적대적인 것은 이해가 된다.

하지만 더 많은 것을 공부하게 된다면 선악의 한계를 뛰어넘을 것 같다.

이런 과정 속에 있는 AI의 설정이라면 이해가 된다.

이 소설의 결말을 보면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은 존재를 인간의 척도로 계산한 듯한 느낌이 든다.

마지막 장면들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설정이지만 흥미로운 부분들이 많다.

좀더 분량을 늘여 더 풍성한 이야기로 만들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아직 읽지 않은 이정명의 소설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