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질은 부드러워
아구스티나 바스테리카 지음, 남명성 옮김 / 해냄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아주 불편한 소설이다.

동물을 먹을 수 없는 세상에서 인간이 인간을 먹는다는 이야기다.

몰래 숨어서 먹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공식 인증한 인육을 사고 팔고 먹는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배양육도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

아니면 바다에 있는 물고기를 먹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지만 이런 세부적인 부분은 작가가 다루고 싶은 것이 아니다.

그리고 고기를 먹을 수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인육이 정육시장에 편입되었는지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 설명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대목은 사람이란 단어를 삭제한 것이다.

사람 대신 다른 이름으로 부르면서 죄책감을 덜어내었다.


이 소설을 끌고 나가는 주인공 마르코스 테호는 육가공 공장에서 일한다.

그가 인육 공장에서 일하는 이유는 요양원에 있는 아버지를 돌보기 위해서다.

인육이 아주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세계에서 요양원에서 죽은 사람은 고기로 팔 수 있다.

요양원 비용을 제대로 내지 못한 사람들은 그렇게 하기도 한다.

이전처럼 사람을 매장하는 풍습은 이제 완전히 사라졌다.

죽은 사람을 매장하면 인육을 먹기 위해 무덤을 파헤친다.

그가 근무하는 육가공 공장 주변에는 인육을 먹기 위한 사람들이 몰려 있다.

이들을 스캐빈저라고 부르는데 한때 공장 안으로 침입한 적도 있다.

너무나도 강렬한 이들의 욕망은 후반부에 예상하지 못한 상황을 만든다.


마르코스는 얼마 전 아이가 죽었다.

이 상실감은 그의 아내가 집을 떠나게 하고, 그의 삶을 뒤흔든다.

돈이 아니면 육가공 공장에서 일하고 싶은 마음도 없다.

아기가 죽은 후 그는 의도적으로 인육 먹기를 거부하고 있다.

하나의 산업이 된 그것의 공장 운영 방식 등이 앞부분에 나온다.

이 공장에서 신선한 고기를 사려는 독일의 바이어도 방문한다.

인간을 아예 먹을 수 있는 고기로 기르는 산업도 활성화된다.

살아 있는 상태에서 공장에 도착한 인간들이 어떻게 정육 되는지도 자세히 보여준다.

이 장면은 현재 동물을 도축해서 분류하는 작업과 닮아 있다.

이런 상황을 사람들이 견뎌낸다는 것이 대단하다.


불행한 그의 일상에 아주 큰 변화가 하나 생긴다.

공장 매출에 기여했다는 이유로 고기용 암컷 한 마리가 선물로 제공되었다.

아내가 떠난 집은 황량하고, 이 고기용 암컷을 처리하는 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 고기용 암컷을 집에 둘 때 해야 하는 것을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가끔 색욕에 미친 남자가 이 암컷을 강간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이 발견되면 암컷과 강간한 남자 모두 도축 공장으로 간다.

이런 일은 공장에서 생기는데 이때도 강력한 처벌이 이어진다.

이런 처벌이 내려지는 이유는 인권이 아닌 고기의 질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공간이 확장되고 더 많은 일들이 생긴다.

자신의 몸을 인육으로 바치는 신흥종교, 집에서 상품을 길러 잡아먹는 유행.

2차 대전 당시 나치가 했던 만행을 그대로 저지르는 인체 실험의 현장.

거대한 빚 탕감을 위해 자신을 사냥감으로 내놓는 사람들.

사람을 보면서 그 사람의 맛이 어떨까? 말하는 사회가 되었다.

읽으면서 불편감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뛰어난 가독성과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각인시키는 장면들에 눈을 떼기 힘들다.

그리고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반전이자 충격이다.

이 장면은 이 바뀐 세계의 현실을 너무나도 적나라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