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닐라빛 하늘 아래 푸꾸옥에서
이지상 지음 / 북서퍼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나의 관심을 끌고 있는 두 여행지 중 한 곳이 푸꾸옥이다.

처음 이곳에 대한 소개는 베트남의 제주도 같은 곳이란 것이었다.

아마 한국 사람들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설명이었을 것이다.

코로나19 이전에 이곳을 다녀온 사람들의 평가가 상당히 좋았다.

이때만 해도 나의 관심 여행지는 다른 곳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를 지나면서 관심 여행지가 조금씩 바뀌었다.

이전에 가서 좋았던 곳도 가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시간 빼기가 쉽지 않다.

나의 관심사 덕분인지, 최근에 뜨는 곳인지 광고 알림에 푸꾸옥 여행이 많이 나온다.

푸꾸옥에 대한 여행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 이 책을 펼쳤다.

나의 기대는 책을 읽자마자 사라졌다.


이전에 읽었던 작가와 다른 방식의 편집과 내용이라 읽으면서 의문이 생겼다.

이지상 작가는 내가 생각한 그 이지상 작가가 아니다.

동명이인인데 이 작가의 다른 책은 검색에 나오지 않는다.

이전에 읽었던 작가의 책은 사진도 많고, 많은 곳을 돌아다녔다.

하지만 이 작가는 가족과 함께 푸꾸옥 한달 살기로 왔다.

리조트 한곳에서 장기 투숙하면서 아주 느린 여행을 한다.

바쁘게 관광지를 돌면서 볼거리와 먹을거리를 나열하지 않는다.

리조트 주변의 식당과 과일주스 파는 곳과 마트 등을 천천히 돌아다닌다.

그리고 반복된 일상 속에서 푸꾸옥 사람들과 천천히 관계를 맺는다.

처음에는 뭐지? 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부러운 마음이 들었다.


현실적으로 푸꾸옥에 길게 여행가는 사람이 많지 않을 것이다.

짧은 일정으로 다녀오는 사람에게 이 책은 정보를 얻기에 충분하지 않다.

기존 여행책들이 더 좋은 참고 자료다.

하지만 가족과 장기 투숙하면서 그 도시를 돌아다니고 싶다면 권유할만하다.

여행이 단순히 보고 먹고 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작가의 아내가 리조트 직원에게 베트남어를 배우는 장면도 그 연장선이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대과일에 대한 취향이 바뀐다.

오래 전 아내와 태국 여행 갔을 때가 생각나는 장면이다.

1일 1망고가 며칠 지나면 다른 과일을 찾게 했기 때문이다.


강한 햇볕, 높은 체감 온도 등은 그냥 다니기 쉽지 않다.

그들은 킹콩마트에서 산 양산을 펼치고 다닌다.

하지만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지 않으면서 일사병에 걸리기도 한다.

가족 전체가 소식을 하는 듯해 화려한 먹방은 나오지 않는다.

동남아의 1인분이 충분하다고 할 때 특별히 양이 많은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리조트 주변 음식점 사람들과 친해지면서 그들의 양은 더 늘어난다.

고마운 일이고, 그 이면에 깔린 마음이 따뜻하게 다가온다.

이런 관계는 일상의 대화와 SNS 친구맺기로 이어진다.

SNS는 그들의 대화를 더 매끄럽게 해주는데 그 일등공신은 구글번역기다.

점점 AI의 발전이 여행의 장벽을 조금씩 지우고 있다.


장기 투숙은 이웃과의 관계 맺기와 더불어 세밀한 여행의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같은 곳에 또 가면서 느끼는 감정과 그 변화.

이번에 가지 못하면 다음에 가면 되지 아는 여유로운 생활.

돈으로 해결하는 방식이 아닌 현지인처럼 움직이는 여행.

바쁜 여행객들이 누리지 못하는 리조트 시설과 해변 수영 등.

아직 구체적인 정보를 모으지 않았지만 어딘가에서 본듯한 관광지의 정보.

마지막 순간까지 아쉬움과 이별의 슬픔을 나누는 사람들.

읽는 내내 가고 싶다는 마음과 내가 경험했던 동남아가 떠올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