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의 비극
요네자와 호노부 지음, 문승준 옮김 / 내친구의서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오랜만에 요네자와 호노부의 소설을 읽었다.

이 작가의 사회파 미스터리는 처음 읽는다.

이전에 재밌게 읽어 사놓고 묵혀 두고 있는 책들이 많다.

희미한 기억만으로 작가의 이야기를 떠올리기에는 너무 시간이 지났다.

소멸되어 가는 마을을 주제로 미스터리를 풀었다는 대목에 끌렸다.

한국도 현재 점점 인구가 감소하는 지방 도시 문제가 아주 심각하다.

어떻게 해서든지 새로운 인구의 유입이 필요하지만 쉽지 않다.

마을의 활력은 젊은 사람들이 힘차게 움직일 때 가능한 것이다.

젊은 사람들이 떠난 마을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령 마을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소설의 무대가 되는 미노이시도 그런 마을 중 하나다.


마을 사람들이 떠났다고 그 집의 가치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시에서 기획한 I턴 프로젝트는 다른 곳 사람들을 이 마을에 정착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당연히 기존의 집주인들과 계약을 하고, 어느 정도 살 수 있게 수리를 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해결하기 쉽지 않다.

그것은 마을과 도심과의 거리다.

마을 안에서 경제가 돌아갈 정도가 되면 좋지만 겨우 열 집 정도로는 무리다.

자생적인 시설이 부족한 마을에서 사고가 생기면 그 일을 처리하는데 시간이 상당히 걸린다.

구급차를 불러도 오는데 40분 이상이 걸리니 왕복 1시간 30분이다.

이런 불편함을 감수하고라도 이 마을에서 살려고 하는 신청자들이 있다.

소설은 이런 사람들의 이주와 떠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보여준다.


모두 여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장들이 하나의 사건을 담고 있다.

깨닫지 못하면 단순한 사고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의도가 숨겨져 있다.

미노이시에 새로운 주거지를 삼은 사람들은 자신들이 바라는 바가 있다.

이 바라는 바를 이루기 위해 나름 열심히 살지만 생각하지 못한 이웃과 충돌이 생긴다.

이때 이들이 연락하는 부서는 이 미노이시를 살리기 위한 소생과다.

소생과는 과장과 두 명의 공무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소설에서 공무원 만간지는 만원 현장에서 발로 뛰면서 해결하려고 한다.

하지만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

이웃 사이에 벌어지는 민원은 쉽게 누군가의 편을 들기도 어렵다.

공무원이 지켜야 할 중립성과 빠른 민원 해결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여섯 편의 단편을 읽다 보면 조금 밋밋한 느낌이 들 때도 있다.

일상 미스터리 느낌인데 공무원이란 직책이 조금 답답하게 다가온다.

각각의 사건들은 마을 사람들이 조금씩 양보하면 해결될 수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 마을에 이사 올 때 그들이 바란 것이 우선이다 보니 작은 충돌이 생긴다.

이런 민원들에 항상 고생하는 인물은 바로 만간지다.

소생과 과장은 항상 칼 퇴근하고, 신입은 아직 서툴기만 하다.

어떻게 해서라도 이 프로젝트를 성공하고 싶은 마음이 만간지에게는 있다.

아니 정확하게는 공무원의 기본자세에 충실하다고 해야 한다.

덕분에 그의 몸과 마음은 이 마을 사람들의 이해 충돌로 힘들고 괴롭다.


하나의 사건이 생길 때마다 사람들은 마을을 떠난다.

이 프로젝트의 놀라운 점 하나는 떠날 때도 이사 비용을 준다는 것이다.

이주한 이들은 모두 이 마을에 정착해서 살기를 바란다.

소생과에 민원을 제기하는 것도 이곳에 정착하기 위해서다.

이 민원을 해결하기 달려가는 인물은 만간지와 신입이다.

늘 칼 퇴근하는 과장이 가는 경우는 손을 꼽을 정도다.

실제 가는 경우에도 과장은 민원 사항에서 떨어져 있다.

하지만 첫 번째 사건에서 과장이 보여준 날카로운 모습은 눈길을 끈다.

그리고 실패가 예정된 프로젝트의 몰락 과정을 각각의 사건으로 하나씩 보여준다.

이 소설의 진짜 재미는 마지막 장에서 드러나는데 전혀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정치와 행정의 괴리, 예산 부족, 몰락하는 소도시 등은 많은 생각거리를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