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일 블루 아이
루이스 베이어드 지음, 이은선 옮김 / 오렌지디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소개를 읽으면서 제대로 읽지 않아 착각했다.

에드가 앨런 포가 탐정 역할을 하면서 사건을 해결한다고 말이다.

실제 이 소설에서 탐정 역할을 하는 인물은 화자이자 뉴욕 경찰 출신 거스 랜도다.

포는 랜도에게 강한 인상을 주면서 랜도의 조수로 활약한다.

조수로 활동하면서 랜도에게 편지를 보내는데 그가 마주한 일들에 대한 기록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설정은 이 모든 이야기가 랜도가 적은 기록에서 시작했다는 것이다.

자신이 미육군사관학교 웨스트포인트에서 발생한 사건을 수사 의뢰받는 것에서부터 말이다.

이 사건은 자살한 생도의 심장이 사라진 것이다.

누가 이 생도의 심장을 가져갔고, 왜 가져간 것일까?


실제 에드가 앨런 포는 미육군사관학교에 6개월 정도 복무했다고 한다.

작가는 이 시기를 자신의 이야기 속에 끌고 와 역사적 인물인 포와 연결한다.

포의 시와 그의 특징을 살인 사건과 이어가면서 호기심을 불러오고, 풍부한 자료를 얻는다.

실제 사건이 아닌 작가의 창작에 의한 것이지만 읽다 보면 실제 사건처럼 다가오는 부분이 있다.

상대적으로 낯선 1830년대를 배경으로 이야기를 이어가는데 그 시대 적응이 조금 느리다.

웨스트포인트 미육군사관학교의 존재가 환영받지 못했다는 사실도 낯선 정보다.

그리고 이런 사실이 심장이 도려진 사건을 대외적으로 말하지 못하게 했다.

물론 최근에 나온 소설 등에서도 미군 내 사건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현재는 군 수사요원 등이 사건을 수사하지만 이때는 경험 많고 노련한 경찰의 도움이 필요했다.


랜도는 시체를 보고 자신의 풍부한 경험을 그대로 드러낸다.

자신을 뒷조사한 후 이 사건을 맡길 지 말지 랜드를 만난 후 학교장 세이어는 결정하려고 한다.

랜드의 풍부하고 화려한 경험과 무료로 이 수사를 맡고 싶다는 의견은 바로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이 사건을 두 개로 나누어 설명한다.

하나는 자살이 아닌 살인이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심장을 도려낸 인물에 대한 것이다.

이 둘이 같을 수 있지만 목맨 시체로 발견된 것과 심장이 사라진 것 사이에 시차가 있다.

랜도는 이 시체를 처음 발견한 사람과 인터뷰하고, 다른 생도들을 만나 이야기의 허점을 파고 든다.

실제 시체를 본 후 의사를 만나 심장을 도려내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듣는다.

동시에 시체의 손바닥에 있던 종이 쪼가리를 찾아낸다.


빠르게 사건이 해결될 것 같지만 단서가 너무 부족하다.

그러다 기다리던 포를 랜도가 간 술집에서 만난다.

포는 랜도에게 살인자는 시인이라고 말한다. 무슨 말일까?

포의 일탈과 관찰력을 보고 랜도는 포의 조수 이용을 학교장에게 승인받는다.

이제 포는 랜도의 이야기 속에 바로 들어와 사건의 주변에 머문다.

그리고 수사가 진행되면서 의심스러운 사람들이 하나씩 드러난다.

이 과정에 심장과 마녀 등을 연결하는 주술적인 이야기도 나온다.

사람의 심장은 언제나 주술적인 도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와 함께 조사하면서 악마의 의식을 흉내낸 흔적을 발견한다.


포가 나오다 보니 포의 기록에 대한 것을 찾아보고 싶다는 욕망이 계속 생긴다.

그가 랜도에게 한 자신의 이야기들과 시 창작 수법에 대한 것들에 대해서도.

이야기 중반 이후 포가 사랑에 빠진 여성 리에 대한 부분도 같이.

이런 호기심을 품고 있는데 두 번째 살인 사건이 발생한다.

이번에는 살해당한 후 심장이 사라졌고, 거세까지 당했다.

수사는 더 오리무중이고 새로운 의혹이 하나씩 드러난다.

작가의 노련한 연출은 나도 모르게 그가 가리키는 곳으로 시선이 간다.

마지막 부분에 도달하면 뭔가 이상한 느낌을 받는다.

그리고 마지막 반전은 오래 전 읽었던 소설 한 편을 떠올리게 한다.

작가의 이름으로 검색하니 오래 전 읽었던 <검은 계단>이 나온다.

많은 부분에서 그때의 감상과 비슷한 부분이 있는데 다른 소설도 한 번 더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