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도시 속 인형들 2 안전가옥 오리지널 30
이경희 지음 / 안전가옥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전가옥 오리지널 30권이다.

예상하지 못한 <모래도시 속 인형들>의 후속작이다.

1년 6개월만에 후속작이 나왔는데 3부작도 있다고 하니 더 기대된다.

나의 저질 기억력이 이전 이야기들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지만 재미는 그대로임을 안다.

샌드박스 시리즈이고, 연작 소설 형태인데 작가의 실험이 다양하게 들어 있다.

이전 작품과 이어지는 부분이 있고, 3부에서 어느 정도 결말이 날 것 같다.

이미 작가와 편집자가 3부를 예고하고 있으니 그냥 기다리면 된다.

완결로 나아가는 중간에 있지만 각각의 단편들이 주는 재미는 변함없다.


읽다 보면 이전 기억들이 하나씩 떠오른다.

생략된 내용들은 전편을 떠올리면서 조금씩 채워갈 수밖에 없다.

그리고 모든 사건의 배후에 있는 존재를 쫓고 다가간다.

이 과정에 작가의 만들어낸 세계관이 하나씩 드러나고 메타버스의 상상력이 빛을 발한다.

게임이나 이런 쪽에 문외한인 나는 기존 영화 등의 이미지를 불러와 이해할 수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메타버스와 해킹 등을 이용해 사건을 불러온다.

자신들이 안전하다고 생각한 곳을 파고들어 틈을 벌리고 문제를 일으킨다.

<집행인의 귀한 칼날>은 게임 아이템을 이용한 범죄 이야기이자 부의 불평등 문제를 보여준다.


<힐다, 그리고 100만 가지 알고리즘들>은 난해하다.

AI들이 풀어내는 수많은 대화와 기호, 아주 짧은 시간은 쉽게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는다.

기계적이고 기술적인 나열 속에 황당한 인물을 등장시켜 살짝 고개를 기웃거린다.

유치하고 황당한 설정과 장면들은 알고리즘들의 대화와 엮여 생각하지 못한 재미로 마무리된다.

<셋이 모이면>은 한국인의 부동산 욕망을 그대로 담은 이야기다.

재개발을 둘러싼 각각의 이해가 충돌하고, 이 사이를 악당이 파고든다.

제목대로 다른 문양 셋이 모이면 스마트팜이 폭발한다.

사람들이 손목이 날아가는 위험이 생기지만 부의 욕망은 쉽게 멈추지 않는다.


<복원 요법>은 평택에서 조금 더 확장된 공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부산에서 올라온 두 아이들의 이야기는 미래의 암울한 현실을 보여준다.

두 아이의 영원한 사랑, 아이들의 장기를 매매하는 악당.

이 아이들이 가지고 온 구형 스마트폰 등이 기괴한 장면을 만들어낸다.

<세컨드 유니버스>는 앞의 나온 사건의 배후와 연결된다.

이 사건의 배후에 존재하는 인물과 정체가 불명확한 존재의 등장.

모든 사건과 이어주는 이름 하나 여울.

발단한 과학과 메타버스 등이 어떻게 상류층의 오락으로 변하는지 보여준다.

그들의 삶에서 마약보다 더 강력한 자극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줄 때 놀랄 수밖에 없다.

이 단편에서 점점 더 어두운 배후의 실체에 한 발 더 다가가는 느낌이다.


에필로그를 읽기 전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궁금했다.

그런데 이 에필로그가 다른 이야기의 예고편이다.

작가가 만들어낸 새로운 공간 바벨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현대 기술로는 분명히 불가능한 구조물의 모습은 쉽게 머릿속에 구현되지 않는다.

이런 장면과 상황에 대한 설명은 이 소설의 큰 재미 중 하나다.

그리고 이전에 본 많은 SF, 판타지 소설의 장면들이 읽는 내내 머릿속을 오갔다.

시간이 되면 3부가 나오기 전 다른 장편 한두 권 정도는 더 읽고 싶다.

매력적인 이 작가의 세계에 한 발 더 다가가고 싶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