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슈의 발소리 히가 자매 시리즈
사와무라 이치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가 자매 시리즈 5번째이자 두 번째 공포 미스터리 단편집이다.

모두 다섯 편이 실려 있는데 서늘한 공포를 심어준다.

물론 이 다섯 편 모두 히가 자매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히가 자매나 노자키가 등장해 이야기를 풀어간다.

학교 전설이나 도시 전설을 이용해 전설과 현실의 경계를 지우고 허물어낸다.

괴담과 그 괴담의 이면을 파헤치면서 밝혀내는 인간의 뒤틀린 욕망은 더 끔찍하다.

여기에 이전 소설과 연결되는 지점들이 있는데 그것을 찾는 재미도 솔솔하다.

그리고 읽으면서 영화 등으로 만들면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거울>은 읽으면서 그 이상한 장면과 상황이 나를 혼란스럽게 했다.

거래처 높은 분 아들의 결혼식 장면이 만들어내는 기묘한 상황들은 솔직히 어리둥절하다.

실제 내가 그 장소에 있다면 다른 하객처럼 웃으면서 그 장면을 즐겼을까?

아니면 주인공처럼 이 비정상적인 상황에 어리둥절했을까?

아마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것이 아니다.

이 기묘하고 뒤틀린 장면과 자신의 이야기가 겹쳐지면서 혼란을 더한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그 호텔에 놓인 이상한 거울을 본 것 때문이다.

진짜 무서운 것은 그 결혼식 신부와 곧 태어날 예정인 아이의 이름이 같은 것이다.


<우리 마을의 레이코 씨>는 도시전설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여장남자 레이코 씨의 전설이 학교에 떠돌고, 목격자도 나온다.

이 이야기 이전에 오래 전 납치된 후 남성을 잃은 아이 이야기가 나온다.

이 아이는 몇 년이 지난 후 자살했고, 이것이 도시전설로 발전했다고 화자의 친구 다쿠미가 말한다.

공포는 그 이유를 알면 쉽게 해소된다고 하지만 이 소설은 아니다.

오히려 숨겨진 사실을 알면서 더 무서워진다.

그리고 마지막에 밝혀지는 전설의 이유는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만들어낸 비극이다.

어쩌면 그 비극과 도시전설은 1회성이 아닐 수 있다.

마지막 여운은 살짝 그것을 암시한다.


<요괴는 요괴를 낳는다>도 과거 사건과 현재 사건을 연결하면서 풀어간다.

갑자기 몸이 불편해진 시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부부는 고향으로 돌아온다.

남편의 새로운 일이 잘 되지 않고, 해고까지 된다.

새로운 일을 찾아보려고 노력하지만 잘 되지 않고 이런 저런 핑계로 집에 눌러 앉는다.

아내는 시어머니를 돌보고, 일하고, 집안 일까지 같이 한다.

힘겨운 나날을 이어가는 어느 날 사라졌던 남편의 쌍둥이 형이 나타난다.

30년만에 나타난 형은 세상에 빠르게 적응하고, 그녀의 일을 덜어준다.

이런 형이 갑자기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기를 반복한다.

이 갑작스러운 사라짐과 복귀의 반복 이유가 드러난다.

그리고 마지막에 들려온 뉴스는 이 사건의 안타깝고 서늘한 진실을 보여준다.


<빨간 학생복의 소녀>는 병원에서 일어나는 도시전설과 엮었다.

교통사고로 입원한 슌스케는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 외롭게 보낸다.

그가 입원한 병실 307호 사람들이 매일 한 명이 갑자기 죽은 채 발견된다.

슌스케는 밤에 깨어 병실 밖으로 나가는 환자를 따라간다.

그가 따라 간 곳에서 빨간 학생복을 입은 소녀와 만나는 환자를 본다.

그가 말려도 소용없고, 소녀가 잡은 신체 부위는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한 명씩 같은 병실의 환자들이 죽는다.

그리고 마지막에 밝혀지는 진실과 그를 찾아온 아들의 한 마디는 서늘한 여운을 남긴다.


표제작 <젠슈의 발소리>는 어쩌면 가장 무섭지 않은 단편이다.

마코토와 노자키의 결혼과 언니 고토코의 등장.

언니의 실수로 마코토가 손과 발을 다친다.

마코토가 의뢰받은 사건을 언니가 해결하려고 한다.

노자키와 함께 밤에 마을을 돌면서 진상을 파헤치려고 한다.

그러다 한 커플이 죽은 것을 발견하고, 요괴의 흔적을 발견한다.

요괴를 쫓지만 오히려 그들이 부상을 입는다.

결국 요괴의 흔적을 쫓아 사라진 곳까지 오고, 다음 날 그 집을 방문한다.

이 집에서 그 요괴의 정체를 알아채고 사건을 해결하려고 한다.

이전 소설들과 다른 해결책과 분위기가 인상적이다. 결혼 때문인가?

실제 영상으로 옮기면 소설과 다른 느낌일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