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널목의 유령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박춘상 옮김 / 황금가지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오랜만의 신작이다. 무려 11년 만이다.

이 작가의 이전 소설이나 그의 이름을 볼 때마다 신작이 나왔는지 궁금했었다.

<제노사이드>의 강렬함이 아직도 기억속에 강하게 각인되어 있는 덕분이다.

혹시 절필한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을 품기도 했다.

어느 정도 포기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이 소설이 출간되었다.

현재가 아닌 1994년 말의 도쿄를 배경으로 말이다.

예전의 미스터리처럼 신문 기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그리고 이전처럼 나를 몰입으로 이끌었다.


전직 일간지 사회부 기자 마쓰다 노리오.

아내가 죽은 후 상심해서 직장을 그만두고 있다가 여성 월간지에 프리랜서로 들어간다.

타이틀이 사라진 그는 취재 등에서 한계를 분명하게 느낀다.

이런 그를 발탁한 여성 잡지 편집장이 하나의 취재를 맡긴다.

심령 특집으로 투고가 들어온 사건에 대한 기사를 작성하는 것이다.

카메라맨 요시무라와 함께 투고자들을 찾아가서 인터뷰한다.

그런데 대부분 간단하게 유령 문제가 해결된다.

마지막으로 간 곳은 건널목의 유령이 있는 곳이다.

사진과 동영상에 나타난 존재는 조작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이미 프롤로그에서 이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를 등장시켰다.


열차 건널목에서 자살 사건이나 충돌 사건이 있는지 확인한다. 없다.

가끔 새벽 1시 3분만 되면 마쓰다의 집 전화가 울린다.

누군지 말하지 않고, 이상한 소리만 날 뿐이다.

이전 기자 시설 정보를 받고는 했던 형사를 술집에서 만난다.

해결된 살인 사건 한 건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살해된 여성의 사진과 심령 사진을 비교하니 닮았다.

야쿠자의 칼에 찔려 죽었는데 그녀의 신원을 알 수가 없다.

술집에서 일했다는 것은 알아내었지만 정확한 본명은 모른다.

이 살해된 여성의 정체를 밝혀내는 취재가 시작된다.


전직 사회부 기자의 취재는 정석적이다.

취재비가 부족하지만 자신의 돈으로 그 부족분을 채운다.

카바쿠라를 돌면서 신원 미상의 피살자 정보를 얻고자 하지만 실패한다.

그러다 우연히 피해 여성과 함께 살았다는 여성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하지만 그녀도 패해 여성의 본명도, 살던 곳도 모른다.

단지 그녀가 들려준 몇 가지 이야기만 기억할 뿐이다.

궁전 같은 집, 아버지의 호텔 경영, 행복했던 순간에 대한 이야기 등

이 이야기를 단서로 그녀의 신원을 확인하고자 하지만 연결되는 것이 없다.


우연히 찍힌 심령 사진과 영상 하나.

취재로 알게 된 신원미상의 살해 여성.

조사를 진행하면서 하나씩 밝혀지는 부패의 연결고리.

흩어져 있던 정보 조각들이 한 여성의 죽음과 연결되면서 하나로 이어진다.

그렇게 이어진 고리들은 야쿠자와 부패 정치인의 유착 관계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것을 분명하게 보여줄 증거 자료들은 없다.

여기서 비현실적인 유령의 존재가 힘을 발휘한다.

그리고 그 신원미상 피살 여성의 정체가 드러날 때 인간의 추악함에 놀란다.

작가가 사회파 미스터리에 유령을 등장시킨 이유도 부패한 현실 때문이다.

부패한 정치인이 겨우 5만 엔 벌금으로 면죄부를 받는 세상을 생각한다면 더욱더.

이 소설을 읽으면서 한국의 상황은 다를까 하는 의문을 품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