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 코드 - 모두에게 익숙한 소년과 처음 만나는 나 사이 생각학교 클클문고
이진 외 지음 / 생각학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섯 작가들이 ‘남자다움’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성스러움이 여성에 대한 억압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남자다움도 마찬가지다.

서로 다른 다섯 작가 중 두 명이 남성 속에 갇힌 여성이나 동성애를 다루었다.

이것 이외에 사회 문화적으로 강요된 남성상에 짓눌린 소년들이 나온다.

이 분위기 속에서 가장 중요한 ‘나’의 존재는 흔들린다.

나다움을 찾아가는 소년들의 이야기가 각각 다른 장르와 시대를 배경으로 흘러나온다.


전건우의 <더블>은 공포 소설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수혁은 자신 속에 있는 여성의 모습을 부인하고 없애려고 한다.

늦은 밤 화장실에 가서 허벅지를 찌른 후 자신의 여성성을 지우는 행위를 한다.

인터넷에 나온 방법인데 자신에게 가해지는 주변 사람들의 남자다움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 일이 있은 후 그는 귀신 같은 여성이 그의 주변에 나타난다.

그가 버린 여성이 귀신으로 변해 찾아온 것이다. 서늘한 기분이다.

하지만 마지막에 전혀 예상하지 못한 ‘아름다워’란 반전을 마주한다.

남자와 ‘남자다움’을 강요하는 분위기에 이보다 더 좋은 반전은 없을 것 같다.


차무진의 <맹금류 오 형제>는 일본 애니 <독수리 오형제>의 패러디다.

오래 전 기억을 더듬어보니 그 애니를 비틀었다.

물론 공간은 한국으로 바뀌었고, 악당도 다른 이름이다.

이 코믹한 비틀림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여성을 제외한 다른 네 남자의 행동이다.

1호와 2호가 서로 싸우다가 여성이 끼어들면 서로 합세한다.

용기와 만용을 구별하지 못하고, 자기 세계에 갇혀 있다.

쉽게 예상할 수 있는 불새의 주체와 전혀 예상 못한 나머지 형제의 모습이 재밌다,


정해연의 <기둥>은 단어에 집착한 태수와 그 동생 태경의 이야기다.

아버지가 죽으면서 부탁한 ‘우리집의 기둥’이란 단어가 태수를 짓누른다.

여동생의 치마 길이를 탓하고, 늦은 밤 귀가 시간을 단속한다.

티격태격하는 둘의 모습은 보통이 남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 아니다.

오빠의 통제에서 벗어나려는 태경과 동생을 지켜야 한다는 강박의 태수.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정도 짐작이 가능한 동생의 연인.

풋풋한 청춘들과 엄마의 새로운 기둥 해석이 눈길을 끈다.

가끔 이렇게 밝고 유쾌한 정해연의 소설도 좋다.


<소년에겐 아지트가 필요하다>는 조영주의 단편이다.

읽으면서 왠지 모르게 스티븐 킹의 <스탠 바이 미>가 떠올랐다.

가벼운 도시 괴담과 은이란 고등학생과의 만남이 만들어낸 만남은 아주 강렬하다.

이 만남을 통해 성장하는 소년들의 모습은 아주 멋지다.

그들이 만든 아지트가 또 다른 아지트로 변하는 모습을 보면서 청춘의 빛을 잠시 본다.

아주 어릴 때 나의 유치했던 동네 아지트를 잠시 떠올려본다.


이진의 <정거장에서>는 일제 강점기 이야기다.

지금보다 훨씬 남자다움을 강요하던 시절이다.

영수는 전차에서 한 소년을 보고 반한다. 그는 일본 학생이다.

사랑하는 마음에는 국가와 성별이 따로 없다.

3대 독자 영수는 집안 어른들과 누나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다.

자신이 남자를 좋아한다고 말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첫 사랑의 실패와 이 감정에 대한 풋풋한 이야기는 예상 외로 재밌다.

영수의 짝사랑 상대가 영수의 방해 때문에 내뱉는 비하의 말과 행동은 그 시대의 한 면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