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가 마지막에 본 것은 그날, 너는 무엇을 했는가
마사키 도시카 지음, 이정민 옮김 / 모로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만나는 작가다.

<그날, 너는 무엇을 했는가>의 속편이라고 한다.

전편을 읽지 않았지만 이 소설을 이해하는데 큰 무리는 없다.

모두 읽은 지금 전편이 궁금해지기는 한다.

미쓰야 형사의 특이하고 기발한 접근법 등이 강한 인상을 준다.

하나의 죽음, 여기서 파생된 과거의 살인 사건. 예상하지 못한 과거.

과학 수사에 익숙한 독자에게 미쓰야 형사의 접근법은 비약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는 단순히 법인 잡이에만 집착하는 형사가 아니다.

그의 개성 강하고 특이한 접근법은 동행하는 형사 다도코로에 의해 설명된다.


크리스마스 이브. 빈 건물 1층에 여자가 죽어 있다는 신고가 들어온다.

노숙인처럼 보이는 그녀의 복장이 흐트러져 있고, 두부는 둔기에 맞은 흔적이 있다.

경찰들의 수사에 의해 그녀의 정체가 밝혀진다.

그녀의 이름은 마쓰나미 이쿠코, 50대의 중년 여성이다.

지문 조회 결과 1년 전에 죽은 히가시야마 요시하루의 가방에 지문이 찍혀 있다.

하나의 죽음이 두 개의 사건과 연결되는 순간이다.

경찰은 수사를 통해 이 둘의 접점을 찾아낸다.

하지만 그녀가 히가시야마 요시하루의 살인자란 단서는 전혀 발견하지 못한다.

이 사건의 수사팀에 미쓰야와 다도코로 콤비가 들어 있다.

평범한 형사 다도코로는 미쓰야가 가끔 내뱉는 말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

이 소설의 재미 중 하나는 바로 이 특이한 형사의 접근법과 해석에 있다.


미쓰야 형사가 처음 찾아간 곳은 요시하루의 부인이다.

그녀의 집을 방문해 일상적인 질문을 던진다.

밖으로 나와 그녀의 집에 놓인 꽃에 대한 의혹을 말한다.

미쓰야의 의도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다도코로 형사. 머릿속에 물음표가 떠오른다.

이후 이어지는 수사 과정도 결코 평범하지 않다.

일상적인 방문과 질문은 부차적인 것으로 보이고, 실제는 그 현장의 이면을 들여다본다.

그의 기발한 접근법은 피해자와 그 가족들의 사연과 엮이면서 서로 뒤엉킨다.

단순히 누가 범인인지 찾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 속으로 들어간다.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의 삶, 사건을 수사하는 형사가 교차한다.

과거 속에 들어가면 또 다른 이야기와 사건이 흘러나온다.

왜 이쿠코가 노숙인이 될 수밖에 없었는지 보여주는 장면 중 하나는 생각거리를 제공한다.

공무원 요시하루가 생활보호대상자 신청을 하러 온 그녀에게 내뱉는 말이 특히 그렇다.

한국의 공무원이 이렇게 말한다면 민원을 넣고 난리가 났을 것이다.

물론 법의 허점을 이용해 자신의 편의를 도모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하지만 그 속내를 자세히 들여다볼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면 어떨까?

이쿠코의 남편이 죽은 것도, 그녀가 노숙인이 된 것도 이 연장선에 있다.


이야기가 뒤로 가면서 누가 범인인지 추측하는 것이 힘들어졌다.

작가가 꽁꽁 숨긴 것도 하나의 이유다.

가려져 있던 관계와 사연들이 하나씩 풀려나오면서 인간적인 반전이 펼쳐진다.

그녀의 흐트러진 모습이 지닌 의미와 그 일의 이면에 있는 사람들.

그리고 그 이전에 있었던 사고가 만들어낸 비극.

자신의 삶이 아닌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해 살아가는 삶.

가증스러운 본성을 숨긴 채 추악한 말과 행동을 한 인간.

극한의 상황을 마주했을 때 드러나는 진솔한 마음과 행동.

그녀가 마지막에 본 것을 알 수는 없지만 늦은 밤 창밖을 내다보면서 생각에 잠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