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만 꾸는 게 더 나았어요 트리플 10
심너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음과모음 트리플 시리즈 10권이다.

SF 작가가 이 시리즈에 올라 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3편의 SF 단편 소설과 한 편의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경장편 정도로 생각했는데 읽다 보니 단편집이었다.


첫 단편 <대리자들>은 과학의 발달이 배우의 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준다.

순수한 인간의 몸으로 연기를 하는 시대가 끝났음을 알려준다.

현실의 AI가 이미 사진 같은 사람을 그려내는 시대가 되었기에 공감하는 바가 크다.

빛나는 눈동자를 가진 전직 아이 배우가 컴퓨터 그래픽에 이미지를 빌려주는 것에 고개를 끄덕인다.

자신이 연기할 필요도 없이 얼굴과 목소리와 몸매만 빌려주면 된다.

현지 로케도 사라지고, 낭비되는 필름도 없다. 가까운 미래의 현실이다.

여기에 순수한 열정을 가진 여친을 등장시켜 주인공의 혼란을 더 부각시킨다.

마지막 장면은 자신의 철학이 없는 사람의 한계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꿈만 꾸는 게 더 나았어요>은 표제작이자 흔한 방식의 SF소설이다.

반전처럼 꾸며진 마지막 상황까지 오는 과정은 한 편의 좋은 이야기다.

좋은 선배, 높은 급여, 쉬운 일, 하지만 다른 동료들의 낯선 모습들은 호기심을 자아낸다.

재밌는 이야기 중 하나는 아무리 좋은 보안 프로그램을 깔아 놓아도 운영하는 것은 사람이란 것이다.

특히 비밀번호 이야기를 할 때는 순간 뜨끔했다.

소설 속에 나오는 몇 광년이란 거리는 다른 여타의 SF소설처럼 낯선 거리다.


<문명의 사도>은 로마를 연상시키는 이름으로 꾸며져 있다.

인류가 우주로 나가고, 새로운 문명을 만난다.

인류를 위해 광산 행성, 농업 행성 등을 만들어내는데 주인공은 농업 행성의 집정관이 된다.

그가 웜홀을 통해 도착한 곳을 지구와 닮은 농업 행성으로 바꾸려 한다.

하지만 여기서 만난 실피움은 그의 의도를 무너트린다.

실피움의 실체를 알게 된 이후 그와 제국의 황제 사이에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이 황제는 인공지능인데 인간의 감성보다 논리가 우선이다.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에세이 세 편의 글로 자기를 소개하기>는 작가 3년 차의 이야기다.

어떻게 보면 간단한 창작 노트라고 할 수도 있다.

그의 소설들은 언제나 가볍게, 재밌게 읽을 수 있다. 당연히 이번 소설집도 그렇다.

장편은 아직인데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