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는 어째서 자꾸 돌아오는가 문지 에크리
백민석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지 에크리 시리즈 중 한 권이다.

이 시리즈를 아주 띄엄띄엄 읽고 있다.

나에게 백민석은 소설가로 인식되어 있다.

오래 전 읽었던 책들이 모두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가장 인상 깊었던 책은 <목화밭 엽기전>이다.

희미한 기억에 의하면 상당히 엽기적인 내용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다른 소설도 한두 권 읽었고, 몇 권은 읽으려고 사 놓았던 기억이 있다.

그런 그가 절필했다는 기억이 나는데 그 이유가 이 책에 나온다.


작가는 자신이 쓴 산문을 두 부류로 나누었다. 정치적인 것과 미학적인 것.

하지만 읽다 보면 이 분류에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앙코르와트의 미학이 킬링 필드의 정치와 엮일 때를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바다의 문명화 과정]은 전시회 작품을 미학적으로 분석했다고 하지만 그 속에 담긴 정치는 또 어떤가.

나의 의혹에 약간의 억지가 끼어 있지만 그의 글 속에는 정치적인 요소가 곳곳에 배여 있다.

읽다 보면 그가 분석과 인용에 이용한 책에 관심이 간다. 읽을 자신은 없다.

현대문학의 <몬터규 로즈 제임스> 같은 책이라면 언젠가 읽고 싶다.

이 소설에 대한 평은 아주 인상적이고, 마지막 문단은 그것을 함축한다.


묵직하지만 상당한 흡입력을 보여주는 산문집이다.

W. G. 제발트의 소설 <아우스터리츠>로 문을 연 [타자의 장소] 는 소설의 해석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그가 여행하면서 지켜본 몇몇 상황들이 우리가 놓친 삶의 현실을 보여준다.

스페인 팜플로나 축제에서 외떨어져 있던 흑인들이나 프랑스 니스의 테러 사건 등이다.

이것은 다시 한국의 세월호와 촛불 집회 같은 현실로 이어진다.

사유의 연속은 다른 글에서도 마찬가지다. 읽은 내내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자신의 과거와 연결해서 풀어낸 이야기는 오래된 기억을 더듬게 한다.

[공포의 만화방]은 예상과 다른 내용이었다.

공포 문학과 심리학을 연결한 것과 과거 출판 현실을 다룬 부분은 흥미로웠다.

또 하나 과가의 기억을 더듬게 한 것은 [내가 처음 읽은 책’]에 나오는 김남주 시인 이야기다.

재수생이 시를 배우기 위해 간 그곳에서 마주한 김남주 시인은 운동가가 아닌 시 창작 선생이었다.

소설가로만 기억하고 있던 그가 평론가 상을 수상한 소감을 쓴 것을 보니 놀랍다.

천천히 다 읽은 뒤 조금씩 뒤적이다 보면 많은 이야기들이 불쑥 튀어 오른다.

올해 안에 백민석의 소설 한 권 정도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같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