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븐
가와카미 미에코 지음, 이지수 옮김 / 책세상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1년 비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중 한 권으로 나온 적이 있다.

출판사와 번역자가 바뀌어 새롭게 나왔다.

절판된 책의 개정판은 언제나 반갑다.

다만 이 책을 읽기 전 이전에 읽었다는 것을 몰랐던 나의 저질 기억력이 문제다.

이전 서평을 찾아보니 나의 과거를 돌아보는 내용들이 많이 나온다.

왕따와 학폭은 최근 아주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학폭이 SNS로 알려지면서 유명 연예인들이 방송에 나오지 못하는 것을 본다.

그리고 드라마 <글로리>는 이 문제의 정점에서 우리를 뒤흔들고 돌아보게 한다.


사시를 가진 나와 같은 편이라고 말하는 고지마. 둘은 열네 살이다.

화자가 니노미야 패거리에게 왕따와 폭행을 당하는 장면은 읽기 힘들 정도다.

이런 강렬하고 잔인한 이야기라면 분명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데 기억하지 못한다.

다시 읽으면서 화장실 물을 마시고, 분필을 먹고, 배구공을 쓰고 축구공처럼 맞는 등의 악질적인 놀이의 대상이 된 것에 놀란다.

그때도 그랬지만 지금도 왜 반항 한 번 하지 못하고 당할까 하는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가득하다.

하지만 이런 사실을 알고도 묵인하는 학교와 교사의 행동을 보면 조금 이해할 수 있다.

‘나’의 고민이 깊어지고 잠을 제대로 못 자는 일들은 이런 폭력의 결과다.


이 소설에서 나를 가장 놀라게 하고 혼란스럽게 한 것은 모모세와의 대화다.

모모세는 니노미야 패거리 중에서도 조금 특이한 소년이다.

모모세는 사시가 괴롭힘의 원인이 아니라고 말한다.

“우연이 일치한 단순한 결과”라고 말한다. 죄책감마저 없다.

우연히 그 자리에 있었고, 그는 타켓이 되었을 뿐이라고 한다.

이 대화에서 가해자의 궤변은 많은 곳에서 우리가 무수히 많이 본 내용이다.

가끔 가해자가 다른 곳에서 피해자가 되는 내용의 소설도 있다.

현실에서 이런 일은 자주 있는 모양이다. 선생하는 친구 말에 의하면 그렇다.


마지막에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하는 것을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학교에 가지 않아도 된다고 엄마가 말한다.

나도 이 말에는 동의한다. 그럼 가해자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드라마 ‘글로리’처럼 살인으로 응수해야 할까? 비현실적인 이야기다.

수십 년 동안 학폭과 왕따 이야기를 소설이나 영화나 드라마에서 말하지만 크게 바뀌지는 않았다.

하지만 변화는 언제나 조금씩 진행된다.

그 변화가 이번에 나온 <글로리>를 통해 폭발하는 경우도 있지만 말이다.

같은 편이라고 말해주는 고지마의 존재는 친구의 소중함을 다시 깨닫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