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교도 미술 - 신과 여신, 자연을 숭배하는 자들을 위한 시각 자료집
이선 도일 화이트 지음, 서경주 옮김 / 미술문화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교도란 단어는 한 종교의 일방적인 표현이다.

이 책 속에서는 “과거 기독교도들이 아브라함의 신을 믿지 않는 종교라는 개념”으로 사용했다.

초기 기독교인들의 자신들의 유일신교를 바탕으로 만들어낸 단어가 ‘이교(Pagan)’이다.

이 단어를 한국 등의 동양으로 넘어오면 주류 종교 이외의 종교 단체 등에 사용한다.

가끔 사이비 종교와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언제 정확하게 구분해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

초기에 이 단어를 사용했던 의미는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변한다.

현대로 넘어오면 자신들을 이교도라고 말하는 사람들까지 등장했다.

이 단어를 보면서 백인과 유색인종으로 나눈 이분법이 떠오른다.

왜 유색인종 대신 ‘비백인’이란 단어를 사용하지 않을까? 흰색도 색이 있는 것인데 말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몇 쪽을 할애해 이 이교도란 단어에 대해 설명한다.

어디서 유래했고, 현재는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 어떻게 변했는지 보여준다.

이교도 미술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것은 당연히 그리스 로마의 문화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단순히 유럽에 머물지 않고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몇몇 지역으로 넘어온다.

극동 지역을 다룰 때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중국이 아니라 일본이다.

일본의 신도를 다루는데 저자가 가진 자료의 한계인지, 취향의 문제인지는 잘 모르겠다.

한국의 경우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무당이 뒤에 한 번 나올 뿐이다.

일본 문화의 상당수가 중국과 한국을 거쳐 간 것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이교도라고 하지만 그 당시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자신들을 이교도라고 칭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편의상 아브라함 종교를 제외하고 이교도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현재 나에게 가장 익숙한 이교도는 드루이드교이다. 최근에 가장 많이 노출된 이름이기 때문이다.

토르의 망치 모양 팬던트를 걸고 다니는 게르만 신들을 숭배하는 히든이란 것도 있다.

토르 망치의 그림을 보면 마블 영화 등에 익숙한 내가 보기에 조금 허술해 보인다.

스스로 마법사라고 말하고 의식을 치를 때 마법을 거는 위칸이란 존재도 있다.

솔직히 현대 마법사의 능력을 신뢰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의식 등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것 이외에 인도와 중국과 일본 등의 수많은 나라의 종교들이 있다.

다른 지역의 종교를 다룬 부분을 볼 때 낯설고 재밌고 잠시 생각에 빠진다.


저자는 3부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고대의 관습, 종교적 의식, 공동체 등이다.

기독교의 신은 성경이란 경전을 통해, 이 경전의 영상화 등으로 잘 알려줘 있다.

하지만 다른 종교들은 상대적으로 경전도 낯설고, 영상도 적고 왜곡되어 표현된 부분도 많다.

저자가 인신공양 등에 관한 부분을 다룰 때 그 이야기를 완전히 신뢰하지 않는 것도 이런 이유다.

하나의 세계관과 그 시각으로 그 당시 제의를 볼 때, 혹은 자신들의 종교를 알리려는 목적 때문이다.

이교도들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도 신화와 전설의 형태로 남아 전해졌기 때문이다.

그들이 남긴 수많은 그림이나 자료도 새로운 이교도의 탄생을 도와주었다.


신탁과 점술 부분에 가서 중국 역경의 하나의 점술로 다루는 부분을 보고 조금 복잡한 생각이 들었다.

수많은 유학도들이 주역을 공부하고 이것으로 세상을 보려 한 것을 알기 때문이다.

타로 카드의 기원과 현재 같은 모습으로 변하게 된 것에 대한 간단한 설명도 유익하고 재밌다.

스토리텔링으로 본래 모습을 왜곡하는 일이 점점 많아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팩트 체크는 점점 중요해진다.

종교와 함께 결코 뺄 수 없는 것이 축제다. 세계의 수많은 축제와 종교와 관계 있다.

책 내용과 함께 재밌게 볼 수 있는 수많은 그림과 사진들이 실려 있다.

아는 그림과 사진도 가끔 있지만 도상학으로 이해해야 하는 부분도 있어 공부가 더 필요하다.

아는 만큼 볼 수 있고, 공부할 것을 잔뜩 남겨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