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샤라 휠러와 키스했다
케이시 매퀴스턴 지음, 백지선 옮김 / 시공사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말해 표지는 나의 취향이 전혀 아니다.

로맨스라는 장르도 그렇게 좋아하는 편이 아니다. 그럼 왜?

‘로맨스 미스터리’라는 단어가 들어가면서 나를 혹했다. 정확하게는 ‘미스터리’란 단어다.

실제 이 소설의 앞부분은 졸업 파티 후 사라진 ‘샤라 휠러’를 찾는 문제를 다룬다.

그녀를 찾으려는 사람들은 모두 샤라 휠러와 키스를 한 사람들이다.

샤라의 학교 최고의 적수인 클로이, 이웃인 로리, 현재 남친인 쿼터백 스미스 등이 바로 그들이다.

샤라는 키스와 함께 쪽지 등을 그들에게 남겨 숨바꼭질하듯 사라졌다.

그녀의 부모는 그녀를 공개적으로 찾을 생각도 하지 않는다.

그러면 찾지 않으면 되지 않는가? 하지만 그녀가 키스한 이유가 평생 궁금하지 않을까?

샤라가 왜 키스했는지 궁금해 그녀의 방에 갔다가 마주한 로리.

둘이 단서를 찾아 다니면서 만난 그녀의 남자 친구 스미스.

새로운 단서를 찾아 다니면서 마주하는 다른 학생들과의 관계와 몰랐던 그들의 모습.

그리고 단서를 찾는 것 자체가 하나의 모험이자 스릴 넘치는 행동이다.

혹시 잘못하면 클로이가 바라는 미래가 산산조각날 수도 있다.

조심하면서, 위기의 순간을 넘기면서 이들은 샤라가 남긴 쪽지를 찾아내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이 모험에 가장 적극적인 인물은 당연히 클로이다.

그녀는 샤라가 나타나지 않아 정정당당하게 승리하지 못하는 것이 싫다고 말한다.

그런데 왜 자꾸 샤라가 키스했을 때 향기와 감촉 등을 떠올리는 것일까?

클로이가 다니는 학교는 굉장히 보수적인 윌로그로브 기독교 학교다.

보수적인 기독교 학교라고 하면 떠오르는 모든 금지 목록이 이 학교에 그대로 적용된다.

교복 치마의 길이까지 단속할 정도다. 당연히 다른 것은 더 심하다.

이 학교에서 동성애자라고 말하는 것은 전학이나 퇴학을 의미한다.

공공연하게 이것을 말할 수 있는 학생은 없다. 실재한다면 몰래 말하지 말아야 한다.

클로이는 동성애 엄마들의 딸이다. 남자 아빠는 없다.

엄마 한 명이 이 학교를 졸업했고, 이곳으로 오고 싶어해서 이사하고 전학 왔다.

그녀가 바라는 것은 전교 1등으로 졸업생 대표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완벽한 샤라 휠러가 그녀 앞에서 그 길을 막고 있다.

샤라 휠러는 이 학교 교장의 딸이다.

학교 최고의 미녀이자 항상 흐트러짐 없는 모습을 유지한다. 뛰어난 학업 성적까지 갖추었다.

학교의 학생들이 동경하는 여신 같은 존재다. 내가 상상하는 모습과 표지 이미지가 조금 다르지만.

그녀가 왜 이 세 사람에게 키스를 했고, 단서를 남겼는지 궁금하다.

그리고 그 이유를 찾아가는 도중에 억눌러져 있던 개인의 성 취향 등이 하나씩 드러난다.

어떻게 보면 막장 드라마의 한 장면 같다. 여기저기서 동성애자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당당하게 자신이 양성애자라고 말하는 클로이는 당연히 예외이지만 말이다.

마지막에 샤라를 찾을 것이란 나의 예상은 빗나간다.

이 빗나감 이후 펼쳐지는 이야기는 로맨스와 학원물의 결합으로 이어진다.

성소수자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지만 밝고 쾌활하게 진행된다.

그 중심에는 당연히 동성애 커플의 딸인 클로이가 있다.

학교에서 억누른 성 문제는 그 학교를 벗어나면 자유롭게 변한다.

단순히 성 정체성만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개성까지 인정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생기는 문제와 갈등은 또 다른 방식으로 풀려나간다.

이 소설의 재미는 유쾌한 캐릭터와 예상하지 못한 상황과 뻔한 로맨스의 결합이다.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묵직한 퀴어 문제를 담고 있어 불편하게 느낄 사람도 있을 것이다.

좁고 닫힌 세계에서 열린 세계로 나아가려는 학생들의 다음 이야기도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