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과거시제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읽은 배명훈의 소설집이다.

이 책에 실린 단편들은 다른 지면에 실린 것을 모았다. 마지막에 출처가 표기되어 있다.

아직 읽지 않은 앤솔로지에 실린 단편도 실려 있어 다음에 부담을 살짝 덜 수 있을 것 같다.

그것과 달리 책 제목이 입에 달아 붙지 않아 상당히 고생했다.

한국어에서 사용하지 않는 ‘미래과거시제’란 단어 때문이다.

이 단편을 읽으면서도 그 용례를 보고 상당히 혼란스러웠다.

소설의 내용은 상당히 SF적인 설정으로 꼬아 놓았지만 말이다.

그리고 상당히 실험적인 문체를 사용한 작품도 있다.

바로 <임시 조종사>다. 판소리 SF소설이라고 하는데 제대로 재미를 느끼려면 몇 번 더 읽어야 할 듯.


9편이 실려 있다. 적지 않은 수의 단편들이다.

이 단편들을 읽으면서 머릿속에서 키워드 두 개가 떠올랐다.

하나는 언어이고, 다른 하나는 접는 것이다.

언어를 다룬 단편들은 <차카타파의 열망으로>, <미래과거시제>, <임시 조종사> 등이다.

종이 접기 같은 세계를 다룬 단편은 <접히는 신들>, <인류의 대변자> 등이다.

물론 창작을 다룬 단편들도 있다. <홈, 어웨이>와 <알람이 울리면> 등이다.

<미래과거시제>는 시간과 언어를 사용해 시간의 순서를 뒤섞었다. 쉽게 정리되지 않는다.

<차카타파의 열망으로>는 격음과 파열음이 사라진 미래의 단어가 가독성을 방해한다.

하지만 한 시대를 가두어 둔다는 설정과 언어의 변화 등은 상당히 재밌고 신선하다.

판소리 SF <임시 조종사>는 처음에는 ‘뭐지?’하는 의문이 먼저 들었다.

작가가 팬데믹 덕분에 쓴 소설이란 말처럼 노력과 열정과 시간이 느껴지는 소설이다.


접기에 눈길이 간 것은 <접히는 신들>에 등장한 친구와 <인류의 대변자>의 외계인 때문이다.

나의 공간 지각력이 떨어져 이미지를 머릿속에서 제대로 재현하지 못해 아쉽다.

1차원이 3차원으로 바뀌는 현상과 문명을 엮은 기발함은 강하게 머릿속에 남는다.

<인류의 대변자>에서 롯데타워에 우주선을 주차한 외계인이 인류와 처음 접촉할 때 이 부분이 나온다.

이 단편은 이 접기보다 지극히 한국적인 현실 문제를 다루는 부분에 더 눈길이 간다.

정치적 야합에 의해 뒤틀린 성남공항의 문제나 대입시험 등이 대표적이다.


창작자에게도 야구장 응원 같은 일이 필요할 수 있다는 발상으로 시작한 <홈, 어웨이>도 기발하다.

작가가 글을 쓰면 이에 프로그램이 응원의 환호성을 지른다.

이 환호성이 작가의 창작 의욕을 북돋는다. 물론 선택을 잘못하면 다른 결과가 나오지만.

<알람이 울리면>은 모두 읽은 지금도 그 내용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는다.

두 개의 스토리 생성기와 SF 플롯, 우주 여행 등이 머릿속에서 뒤섞여 풀리지 않는다.

우주로 나간 사람의 시간과 지구에서 사는 사람 사이의 시간 흐름은 흔한 SF소설의 이야기다.

하지만 작가는 여기에 지구에서 보내는 통신 등을 넣어 좀더 이 세계를 확장했다.


아직 말하지 않은 두 편은 <수요곡선의 수호자>와 <절반의 존재>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밌게 읽은 작품 중 하나가 <수요곡선의 수호자>다.

로봇 등이 인류의 노동을 대신하면서 생산성이 극대화된 미래를 멋지게 뒤틀었다.

소비만을 위해 만들어진 로봇의 존재가 인류의 파멸을 막는다는 조금 과한 설정.

하지만 읽다 보면 왠지 모르게 조금씩 ‘그럴 수도 있지’하고 공감한다.

<절반의 존재>는 사고로 절반을 잃는 사람이 나머지를 안드로이드로 대체한다.

작가는 여기서 우리의 일반적 상식을 뒤집는다. 바로 상체를 안드로이드로 바꾼 것이다.

그렇다면 이 존재는 원래의 존재가 맞을까? 철학적 문제로 넘어간다.

모두 읽은 후 표지를 유심하게 보니 많은 것들이 담겨 있다.

잠깐 시간 내어 천천히 그림을 보면서 읽은 소설을 복기하는 것도 작은 즐거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