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 인 스펙트럼 안전가옥 FIC-PICK 5
배예람 외 지음 / 안전가옥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전가옥 FIC-PICK의 다섯 번째 책이다.

이번 앤솔로지에는 낯익은 작가가 세 명이나 있다.

다른 두 명, 배예람, 김수륜 등은 이번에 처음 만났다.

내가 아직 읽지 않은 앤솔로지에 그들의 단편 소설이 실려 있었다.

개인적으로 가장 먼저 다가온 이름은 진산이다.

나에게 진산은 그의 남편 좌백과 함께 한국 무협의 추억이기 때문이다.

이번 단편도 무협 세계를 그려내었는데 어떻게 보면 한상운의 향기가 살짝 난다.

그리고 이번 앤솔로지에서 다루는 장르는 다양하고, 주제는 약간 취향을 벗어나 있다.


처음 만난 배예람의 <수직의 사랑>은 설정이 낯익다.

배명훈의 <타워>가 떠오르는데 자세한 부분까지 기억나지 않아 비교하기는 쉽지 않다.

지구의 환경 오염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신분이 갈리는 설정은 아주 직관적이다.

철저하게 계급과 신분이 나누어진 이 세계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상하위층 아이들이 펜팔을 한다.

하층민 하영은 환상을 품고, 살아남기 위해 일한다.

상층민인 상미는 하층민 조직에 납치되어 하층으로 내려오는데 다음이 눈에 들어온다.

단편 속에 간결하게 엮이고 꼬이는 설정은 왠지 모르게 낭만적으로 다가온다.


이수현의 <여우 구슬은 없어>는 판타지 소설이다.

인간과 요괴가 함께 공존하는 문제를 다루지만 깊숙하게 파고드는 정도는 아니다.

판타지의 액션은 최소한으로 나오고, 이선과 여은화의 관계와 심리 묘사에 집중한다.

기레기 언론의 왜곡된 기사와 편협한 인간의 뒤틀린 시각이 결합한 현실을 보여준다.

이선의 흔들리는 마음을 잘 표현하고, 추억을 더듬으면서 마음을 정리한다.

정말 오랜만에 만난 이수현의 소설이라 괜히 반갑다.


아밀의 <하나뿐인 춤>은 SF 판타지 설정을 가지고 와 성 정체성 문제를 풀어낸다.

무성 쌍둥이로 태어나 자라면서 여성과 남성으로 나누어지는 설정은 재밌다.

동물인가 곤충인가 하는 생명체에서 양성으로 변하는 것이 있다고 본 것 같은데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는다.

다른 쌍둥이 릴카는 여성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카릴은 아직 성징이 완전히 드러나지 않았다.

쌍둥이 둘 모두 같은 성별로 분화하는 경우는 흔한 일이 아니라 당연히 카릴을 남성으로 생각한다.

작가는 춤과 성 정체성을 엮으면서 일반적 상식의 틈을 비집고 들어간다.

남녀가 함께 춤을 춰야 하는 졸업무도회의 마지막 장면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김수륜의 <누가 진짜 언니일까?>는 으스스한 공포물이다.

엄마의 재혼으로 새아빠의 양평 집에 들어간다.

이 집에는 새언니가 살고 있는데 상견례에 나타난 의문의 여성이 아니다.

화가가 정원을 걷다 “이 집에서 여자들이 계속 죽어 나간다”란 말을 듣는다.

이 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새언니가 말하는 것 중 이상한 것도 있다.

서늘한 공포가 천천히 다가온다. 어느 정도 예상한 것을 넘어 간다.

후반부에 살짝 풀어놓은 화자의 성 정체성과 이 결혼의 실체는 예측 가능한 것이다.


진산의 〈협탐: 좁은 길의 꽃〉은 무협이다.

하지만 우리가 흔하게 만나는 도검이 난무하고 권장이 부딪히는 무협이 아니다.

무협의 탐정을 협탐이라 부르고, 협탐의 과거를 회상하면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무림의 분쟁이 강호신제와 무림천후 부부의 노력으로 거의 종식된 세계를 그린다.

이런 현실에서 주인공의 사매인 무림천후가 사건을 의뢰한다.

유산과 남편의 외도 등을 엮으면서 풀어가는 와중에 살짝 엇갈린 감정이 흘러나온다.

강호신제 바람의 정체가 드러날 때는 약간 충격을 받았고, 진짜 목적은 쉽게 알 수 있었다.

진산은 이번 소설을 연작의 두 번째라고 했는데 언젠가 한 권으로 묶여 나올 날을 기다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