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눈물이 너를 베리라
S. A. 코스비 지음, 박영인 옮김 / 네버모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검은 황무지>로 처음 만난 작가다. 이번 소설은 아주 화려한 수상 이력을 뽐낸다.

전작도 정신없이 달리게 하더니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아니 더 대단하다.

단순히 재밌게 읽게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국 사회의 한 단면을 제대로 보여준다.

그 시발점은 설정에서부터 시작한다. 흑백 게이 커플과 그 아버지들이란 설정이다.

이 게이 커플이 총에 맞아 죽은 다음부터 이야기가 시작한다.

그리고 이 아버지들이 자신의 아들이 게이란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격렬하게 그려낸다.

아들의 죽음 전에는 그렇게 반발했는데 죽은 후 그 상실감과 후회는 너무나도 거대하다.

게이인 것에 더해 흑백 커플이란 설정을 더해 성 정체성에 인종 문제를 더했다.


죽은 아들의 두 아버지들도 결코 평탄한 삶을 살아오지는 않았다.

둘 모두 감옥에 몇 년씩 살다 나왔다. 이 둘은 자신의 아들이 게이란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폭력으로 아들의 성 정체성을 바꿀 수 있다고 믿어 주먹을 휘두르기도 했다.

성장기 아이들에게 몇 년 동안 아버지의 부재는 아주 큰 문제다.

흑인이 아이크의 아내는 일을 세 개나 하면서 아이지아를 키웠다.

아이크가 감옥에서 나온 후 범죄 쪽에 발을 내딛지 않은 것도 이런 과거 때문이다.

백인 버디 리의 경우 아내가 부유한 판사와 재혼 후 아들 데릭을 키웠다.

하지만 아들은 그 집에서 쫓겨나다시피 했고 술과 폭력에 절은 아버지와 살아야 했다.


아이자와와 데릭은 잘 자랐다. 자신들의 직장과 배우자도 만나 결혼식까지 올렸다.

대리모를 통해 두 사람의 아이까지 얻었다. 이들의 삶에 유일한 아픔은 아버지들이다.

가장 행복해야 하는 순간 아들이 게이란 사실에 화가 난 아버지가 있었다.

이 화가 아들의 죽음 이후 끊임없는 자책과 후회로 바뀐다.

그런데 이 둘은 사고로 죽은 것이 아니다. 냉혹한 살인자에게 확인 사살당했다.

경찰은 이 사건 해결에 대한 단서도 제대로 찾지 못한 채 몇 개월을 그냥 보낸다.

데릭의 아버지 버디 리가 아이크를 찾아와 우리가 범인을 찾자고 한다.

아이크는 거부한다. 무서워서? 아니다. 자신 속에 숨쉬는 너무나도 강렬한 폭력성 때문이다.


아이크의 생각이 바뀐 것은 두 아이의 무덤과 비석이 손상된 것을 본 다음이다.

그것을 보자마자 그는 아들 커플을 죽인 살인자를 죽이고 싶은 욕망에 휩싸인다.

버디 리에게 전화하고, 이 둘은 경찰들에게 말하지 못하는 아들 친구들을 만난다.

이 과정에 흑백 중년들이 티격태격한다. 그들의 살아온 길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백인인 데릭은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흑인 아이크의 삶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

실제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흑인이었다면 바로 총을 쐈을 상황도 나온다.

이때 버디 리가 하는 말은 그가 며칠 동안 아이크와 다니면서 깨달은 현실을 보여준다.

이런 상황은 곳곳에서 나오고, 작가는 이 장면을 통해 인종 문제를 표현한다.


LGBTQ 문제도 정면에서 다룬다. 두 아들이 게이니 당연한 일이다.

단서를 얻기 위해 찾아간 게이바에서 아이크가 한 남자의 손길에 화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선입견이 만들어낸 두려움의 결과다. 이렇게 작가는 게이에 거부감을 가진 사람의 행동을 그려낸다.

이곳에서 만난 게이와 대화하면서 인종 갈등보다 더 심한 성 정체성 문제를 조금 인식한다.

차별은 그 대상이 가장 잘 인식한다. 대상이 아닌 사람은 잘 느끼지 못한다.

백인인 버드 리가 백인 하층민으로 살면서 결코 느끼지 못한 것을 아이크와 함께 하면서 경험한다.

그리고 두 사람이 듣는 음악을 통해 서로 다른 계급의 문화를 잘 표현한다.


자기 아들을 죽인 살인자를 찾아가는 흑백 아버지의 과격한 동행 이야기다.

그 과정은 결코 평화롭지도 지적이지도 않다. 가는 길마다 폭력이 난무한다.

아이크가 말했듯이 중대범죄를 수없이 저지르면서 나아간다.

그런데 그들만 이런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아니다. 아들 살인자들은 더 많다.

하지만 법은 이런 곳까지 미치지 못한다. 차별이 심한 곳에서는 법도 사건을 차별한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아들의 성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와 자책이 넘쳐난다.

‘살아만 있다면’이란 전제가 붙는데 사별의 고통이 만들어낸 현실 인식이다.

읽다 보면 뭉클하는 순간이 생긴다. 이런 감정도 통쾌한 복수와 피 튀기는 장면에 밀린다.

이 밀린 감정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여운으로, 부성애로, 차별의 문제로 머리와 가슴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