끔찍하게 헌신적인 덱스터 모중석 스릴러 클럽 9
제프 린제이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역시 매력적이다. 캐릭터 중심의 소설이라고 하지만 연쇄살인범이 이렇게 매력 있어도 되는가? 묻고 싶다. 이번 편에선 인간적인 부분이 점점 더 많이 나오면서 그 매력을 더 높여가고 있다. 냉정하고 비정하면서 감정을 숨기면서 살아가는 그가 조금씩 잊어버렸던 감정을 되찾아가는 모양이다. 그렇다고 그의 끔찍한 살인 행각이 완전히 멈춘 것은 아니다. 만월로 가득한 밤이면 달빛은 조그마한 칼날 같이 그의 살을 쪼아 된다. 역시 유럽 등은 이태백의 풍류를 모르는 모양이다.

 

첫 장면에서 지난 번 처럼 살인을 기대하며 잔뜩 긴장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런 일은 없었다. 리타의 아이들에게 완전히 사로잡힌 그만 있을 뿐이다. 비록 반은 자신을 둘러싼 주변시선으로부터 위장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는 아이들을 정말 좋아한다. 이 부분은 뒤로 가면서 그와 해리의 관계처럼 새로운 부자 관계를 암시하기도 하는데 조금은 끔찍하다. 뭐 그것은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있으니 지금 신경 쓸 필요는 없을 듯하다.

 

지난 번 상대보다 이번 상대가 더 강해 보인다. 아니 새로운 악당의 등장에 덱스터 속에 살고 있는 검은 승객뿐만 아니라 덱스터도 매혹된 듯하다. 단순히 토막을 내어 살인을 하거나 보통의 연쇄살인자 같다면 그의 관심이 이렇게 높아지질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 악당은 정말 심하다. 인간을 산채로 절단하고, 그 과정을 거울을 통해 피해자가 보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그의 전직이 외과의사라니 그 시술이 얼마나 무시무시한지 짐작조차 힘들다. 이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작업이 완료되지만 결코 그 피해자를 죽이지는 않는다. 그 상태가 글 속에 표현되어 있지만 내가 몇 자 옮기려니 참 으스스하다. 읽을 당시 몰랐는데 그 상태를 지금 생각하니 오한이 난다.

 

지난번에도 여동생 뎁 때문에 고생을 하였는데 이번도 역시 그녀의 투정과 부탁에 힘겨운 일이 벌어진다. 무적으로 생각하던 덱스터가 무너지는 순간은 뭔가 이것은 착오가 아닌가 생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도 완전한 인간은 아니었다. 마음속에 끔찍하고 시커먼 존재가 살고 있지만 곳곳에 약점을 노출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검은 존재를 알아보는 그 능력은 정말 탁월하다. 그 존재와 만나면 자신 속의 존재와 으르렁거리며 싸우기도 하니 영화 속에서 착한 악마와 나쁜 악마의 싸움 같다고 해야 하나? 또 가끔 다른 악당의 놀라운 일처리에 자신도 모르게 빠져드는 것을 보면 그도 참 나쁜 존재다. 하지만 다행히 어릴 때부터 잘 교육을 받고 자기 통제를 한 관계로 쓸데없는 살인은 하지 않는다. 증거 없이 살인을 하지 않는 그를 보면 그것도 하나의 능력이기는 하다.

 

전작보다 좀더 짜임새도 있고 긴장감도 높다. 여동생이나 리타의 아이들에게 헌신적인 덱스터의 모습은 차후 어떻게 변할지 상당한 호기심을 유발한다. 굉장히 비인간적이지만 인간적으로 보이기 위해 연기하는 그가 사실은 겉으로 가장 인간적이다. 인간적이란 단어의 정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타인에게 최소한의 피해도 주지 않고 어울리는 그를 보면 대단하기까지 하다.

 

모두 읽고 난 지금도 읽는 중에도 가장 많이 떠오른 인물은 한니발이다. 어린 시절 한니발을 읽었고, 어른이 된 한니발을 영화로 보았지만 한니발이 주인공인 소설은 보지 않았다. 조만간 ‘한니발’을 읽어봐야겠다. 두 악당 캐릭터가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는데 그래도 역시 나는 덱스터가 마음에 든다. 끔찍하고 음흉한 존재이지만 최소한 그는 무차별 살인은 하지 않지 않는다. 그리고 가끔 빈틈을 보여주는 행동과 조금씩 일상생활에 잠식당하는 그 심리 상태는 앞으로의 그를 추측하는 즐거움을 준다. 다음 편에선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