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부살인 협동조합
김동식 지음 / 요다 / 2022년 11월
평점 :
김동식 작가의 공포, 스릴러 단편집이다.
재밌는 점은 오디오 드라마와 동시에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오디오드라마 원작이 15편, 신작 5편 합쳐 모두 20편이다. 적지 않은 숫자의 단편들이다.
많다고 생각했는데 그의 대표 단편집 <회색 인간>은 24편이나 된다.
대표작은 아직 읽지 않았지만 앤솔로지 등에서 만난 단편들은 아쉬운 경우가 조금 있었다.
그런데 한 권을 통째로 읽으니 완전히 느낌과 재미가 다르다. 좋다. 흐름이 다르다.
이 단편집의 재밌는 점 중 하나는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재활용한다는 것이다.
작가의 성향이 그런 것인지, 아니면 이번 단편집만 그런 것인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같은 주인공이 계속 등장한다면 만화책 주인공처럼 생각하고 넘어갈 수 있을 텐데 그것도 아니다.
그냥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힘들게 찾아내서 단편마다 다르게 쓰는 것이 귀찮았던 것은 아닐까?
동명이인이 많은 현실을 감안하면 이런 상황이 전혀 불가능하지도 않다는 쓸 데 없는 변명도 해본다.
내 기억이 잘못되지 않았다면 열 개 이내의 이름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20편이 되는 단편들의 모든 내용을 요약하는 것은 쉽지 않고 큰 의미가 없다.
기발한 발상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단편들도 있고, 인간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노출한 단편도 있다.
어떤 단편은 마지막 장면을 읽고 감탄을 자아내고, <죽음의 방탈출>처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단편도 있다.
<칠판의 이름> 같은 경우는 마지막이 굉장히 노골적이다. 그리고 탐나는 살인 방식이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동명이인들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하는 원초적인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실제 이 단편에서도 같은 이름이 계속 반복되어 나오고 있지 않은가.
<낚시터로 찾아온 사내>의 강박과 착각은 마지막에 드러나는데 <언젠가 냉장고 문을 열 테지만>은 기대와 착각이 만들어낸 상황을 잘 보여준다.
표제작 <청부살인 협동조합>은 협동조합의 필요성을 역설하는데 서늘하고 신박한 재미가 있다.
<왜 나를 살려 뒀을까>의 반전은 기발하다. 이것을 <기업 경영 AI>와 연결하면 돈과 효율이 엮인다.
<1분만 조종할 수 있다면>은 복수와 돈을 재밌게 엮었다. 복수만을 위한다면 <칠판의 이름>으로 충분하다.
<어차피 과거로 돌아갈 거면>은 타임슬립과 인간의 욕망을 직관적으로 엮었다.
<귀신 보는 내 친구>는 과도한 인정욕구가 만들어낸 비극을 예상하지 못한 타이밍에 보여준다.
<폭력 앱>은 폭력의 먹이사슬을 잘 보여준다.
<벌레들의 긴급한 밤>은 <죽음의 방탈출>의 경쟁과 심리전과 탐욕이 같이 눈에 들어온다.
<천국이냐 지옥이냐>는 읽으면서 ‘혹시’했던 부분이 사실로 드러났다. 사람에 대한 평가 기준은 무엇일까?
<총이 든 무기 상자>의 마지막 장면은 인터넷 악플러에 대한 가장 멋진 반격이다.
<몇 층을 누르실 겁니까>는 벌어진 틈 사이로 들어온 악마의 속삭임과 탐욕이 자리하고 있다.
예상하지 못한 마지막 장면을 나란히 보여주는 <유품 경매인>은 진한 여운을 남긴다.
개인적으로 가장 암울하고 디스토피아적이고 현실적인 단편이 <기업 경영 AI>다.
기업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인간의 행복과 생존은 뒤로 밀려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
최근에 있었던 SPC 참사와 연결하면 더욱 암울한 현실이다.
몇 편을 빼면 대부분의 단상을 적었는데 인간의 욕망, 기발한 발상, 예상하지 못한 반전들이 가득하다.
소설로 이 상황을 소비하기에 쉽게 도덕적 윤리적 기준으로 예단할 수 있지만 현실이라면 어떨까?
<무서운 침묵>의 마지막 질문이 주는 그 함축된 의미는 얼마나 무섭고 무거운 것인가?
돈 앞에 너무나도 쉽게 무너지는 사람들의 모습은 현실에서 너무 자주 너무 쉽게 볼 수 있다.
따뜻한 것 같은 느낌으로 시작한 <아내의 동영상>의 마지막은 얼마나 끔찍한가?
이 단편집으로 살짝 묻어둔 작가의 다른 단편집으로 시선이 옮겨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