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흉하게 꿈꾸는 덱스터 모중석 스릴러 클럽 4
제프 린제이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매력적인 연쇄살인범 덱스터. 반 영웅. 어쩌면 우린 이런 살인자를 기다리고 있었는지 모른다. 법이라는 장벽 뒤에 숨어 온갖 잘못과 악을 저지르는 사람들에게 덱스터는 천적임이 틀림없다. 가끔 나도 꿈꾼다. 말도 되지 않는 상황에서 떵떵거리며 살아가는 범죄자들이나 국민의 이름을 팔면서 호위호식하거나 정신병이라는 조작된 병력으로 법의 보호를 받는 죄인들에게 철퇴를 날리는 꿈을 꾼다. 하지만 현실의 벽은 너무 높다.

 

이 소설을 보면서 느낀 점은 철저하게 캐릭터 중심이고 엔터테인먼트 중심이라는 것이다. 덱스터가 처음 등장하니 인물에 공을 들인다. 그의 과거와 현재의 삶을 축으로 그와 무척 닮은 연쇄살인범이 등장하여 연쇄살인범 대 연쇄살인범의 대결구도를 만들어 낸다. 이 부분이 이 소설의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다. 왜 그가 연쇄살인범이 되었는지? 그 이유를 설명하면서 그의 내면을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외양을 가지고 있지만 그의 마음은 차가운 얼음과 같다. 그에게 인간관계는 자신의 정체를 숨기기 위한 하나의 방편일 뿐이다. 이 대목은 계속해서 강조된다. 단 하나의 예외는 아이들과 관련된 것이다. 그래서 첫 장면이 아동살인자를 살해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모양이다.

 

자신이 연쇄살인범이기에 연쇄살인범을 가장 잘 이해한다. 하지만 그들과 그는 다르면서 같다. 다른 점은 덱스터는 사회악인 사람들을 고르고 증거를 수집하여 잔혹하게 처리하는 반면에 다른 살인자들은 자신의 욕망에 굴복하여 살인하는 것이다. 같은 점은 둘 모두 살인으로 쾌락을 얻는다는 점이다. 개인적 살인이 용납되지 않는 현실에서 이 둘은 모두 범죄자다. 그러나 우린 덱스터의 살인에 묘한 쾌감을 느낀다. 잔혹하고 비정하며 거침이 없지만 그의 살인은 용서받지 못할 자들에게 내려지는 죽음이기 때문이다. 법보다 정의라는 문장이 생각나는 그의 행동이다.

 

이전에 ‘더티 해리’시리즈에서 악당을 처치하는 경찰이 있었다. 악당이지만 법의 틈새를 파고들어 풀려나는 자들을 처리하는 경찰을 우리의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매그넘으로 살해한다. 이것이 법이다라고 하면서. 그리고 가끔 다른 소설이나 영화에서 법의 한계를 넘어 악당을 처치하는 인물이 나온다. 이때 우리의 주인공은 그들을 법의 이름으로 처단한다. 하지만 이 소설이나 영화에선 한 가지 특징이 있다. 악당을 처치하는 인물들이 자신들을 정의라고 외치면서 독자나 관객이 생각하는 한계를 넘어선 행동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린 주인공에게 ‘너는 아직 괜찮다’라고 하면서 면죄부를 주는 것이다. 나에겐 이 한계선을 언제 덱스터가 넘을까? 궁금하다. 만약 그가 실수라도 한계를 넘어간다면 나는 그를 지금처럼 면죄부를 줄 수 있을까? 아마 힘들지 않을까?

 

일반적인 인간의 심리 상태가 아닌 덱스터가 이 소설 속에서 몇 번 자신을 제어하지 못하고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냉혹하며 잔인하고 철저하게 계산되고 준비된 행동만 하는 덱스터가 조금 빈틈을 보인 것이다. 이후 나온 그의 책에서 이 빈틈들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사뭇 궁금하다. 그리고 그가 펼쳐 보여줄 악당들과의 전쟁과 처단도 역시. 약간 허술한 구성이 있지만 덱스터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