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붓꽃
루이즈 글릭 지음, 정은귀 옮김 / 시공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의 시집이다.

시집을 정말 띄엄띄엄 읽고 있고, 외국 시인에는 더욱 무지하다.

아마 노벨문학상을 받지 않았다면 이 시집을 읽지 않았을 가능성이 더 높다.

집에 쌓아 두고 조금씩 읽고 있거나 쌓아만 둔 시집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이렇게 가끔 노벨문학상은 나를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이끈다. 이런 일은 좋은 일이다.


이번에 시공사에서 세 권이 한꺼번에 같이 번역되어 나왔다.

역시 노벨문학상을 받지 않았다면 시집이 이렇게 나오지는 못했을 것이다. 반가운 일이다.

이 세 시집을 한 권씩 천천히 읽을 예정인데 가장 처음 선택한 것이 가장 먼저 나온 이 시집이다.

그리고 이 시집의 구성도 기존 시집과 다른다.

보통 시집 뒤에 시집에 대한 해설과 옮긴이의 말이 나오는데 이 책은 별책으로 만들었다.

아직 이번에 읽은 시집에 대한 이 별책을 읽지 않았다.

왠지 다음 시집은 별책의 해설 등을 먼저 읽으면 어떤 느낌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많은 시들이 실려 있지는 않다. 같은 제목의 시들도 많다.

가장 많이 나오는 제목은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다.

예전에 ‘무제’란 제목의 시들이 많았던 시집이 생각난다. 요즘은 보기 힘들어진 듯하다.

이 시집을 읽으면서 시인이 부르는 존재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의문이 먼저 들었다.

쉽게 기독교 신으로 해석하면 간단하지만 시어들이 들려주는 소리는 그것과 다른 것도 있는 것 같다.

“’단순한 신앙 교리(tenets of faith)를 받아들이지 않으려 하는 엄정함과 저항’이라고도 표현했다”는 문장의 의미가 조금은 이해가 된다.


정원의 풍경이 머릿속에 그려지지만 수없이 나오는 풀과 꽃들은 나에게 낯설다.

언젠가 한 시인이 꽃을 아는 것을 중요하다고 말한 것이 생각난다. 나무도 꽃도 풀도 나에겐 어렵다.

시를 읽으면서 문장의 배열이나 어미 등에서 원전을 확인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어떤 단어와 배열이기에 이런 편집을 했을까 하는 호기심 때문이다.

그리고 이 배열과 시어들은 가끔 나의 집중을 깨트리고, 좀더 고민하게 한다.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시어들을 보면서 몇몇 표현들은 나의 가슴에 와 닿았다.

“흙을 찢는 날개 같은 그 첫 새싹들을 봤어요.” <저녁 기도>에 나온 시어다.

<자장가>란 시에서는 “가만히 들어 봐, 반딧불 같은, 내 숨소리를, / 네 숨소리를, 각자의 작은 호흡은 / 세상이 드러나는 하나의 불꽃.”이라고 했을 때 나의 귀도 그 순간 그 소리에 집중했다.

이런 표현 몇 개를 마음에 담았지만 전체적인 시에 대한 이해는 아직 부족하다.

정원에서 영감을 얻은 시집이란 소개가 있는데 그 영감을 제대로 잡아내지 못했다.

호흡을 달리하고, 좀더 그 묘사와 표현에 집중하면 다르게 다가올까?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