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와중에 스무 살 - 제1회 창비교육 성장소설상 대상 수상작 창비교육 성장소설 7
최지연 지음 / 창비교육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2년 제1회 성장소설상 대상 수상작이다.

스무 살의 은호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스무 살. 오래 전 그 나이의 나를 생각한다.

희미한 기억 속의 나는 은호처럼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불안하고, 즐겁고, 어리둥절했다.

다른 시대, 다른 환경을 가졌기에 나와 은호를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으면서 자신의 스무 살을 생각하지 않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그때의 내 모습을 자꾸 떠올리고, 생각하고, 그리워한다.


은호. 그녀의 가정은 불안정했다. 엄마는 고등학생 때 임신해 은호를 나은 것 같다.

주민등록증 나이로 추산하면 고3때 엄마가 낳았다. 물론 엄마는 주민등록증 기록이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이런 이야기가 나온 이유는 어린 나이에 아이를 낳았고, 동안이라 가끔 남자들이 헌팅을 하기 때문이다.

첫 장면에 상담사와 상당하는데 엄마와 밥을 먹다가 생긴 에피소드를 말한다.

이십 대 남자가 자신이 아닌 엄마에게 남자 친구 있는지 묻는 장면이다.

당연히 자신에게 온다고 생각했는데 엄마라니! 그리고 엄마의 대답은 남자 친구 없고 남편 있어요, 다.

조금은 흔한 동안의 엄마와 함께 다니는 딸 이야기 같다. 그런데 남편도 이혼으로 현재 없다.


서울 강북에 있는 대학에 오면서 집을 떠나 혼자 생활한다.

은호의 자취 생활 속에는 수많은 남자들이 있다. 남자를 아주 가볍게 생각한다.

현재 커피숍에서 알바를 하고, 착실한 남자 친구가 있다. 준우다.

이제 성에 눈을 뜨고 있던 준우는 은호의 엄마가 상경하면서 그 욕망을 억눌러야 한다.

20대 남자에게 쉬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엄마의 상경은 은호에게 생각하지 못한 일이자 변화다.

좁은 방에서 같이 산다. 주변에서 듣는 말처럼 엄마와 딸이 함께 있으면 사소한 다툼이 늘어난다.

엄마의 걱정이 잔소리로 흘러나오고, 삶의 치열함이 생존을 위해서란 사실이 드러난다.

그것은 현재가 아닌 과거 이야기 속에서 조금씩 흘러나온다.


은호는 엄마와의 다툼과 갈등 후 학교 상담소를 찾아간다. 여기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문제는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있다. 엄마는 이혼하고 자신의 삶을 살기보다 딸과 함께 살기를 선택한다.

서로 다른 삶을 살았고, 다른 생각을 하고, 다른 환경을 가진 모녀는 보는 사람이 불안하다.

젊은 엄마가 자신이 일하는 카페 사장님처럼 조금 편안하게 살기를 바라지만 쉽지 않다.

남자 친구나 애인을 사귀어 자신의 삶도 즐겁게 살길 바라지만 이것도 어렵다.

고깃집에서 서빙을 하면서 돈을 벌지만 그것이 결코 풍족하지 않다. 딸도 카페 알바를 하지 않는가.

이 삶의 어려움과 무거움이 진하게 드리우고 있지만 작가는 이 어둠에 먹히지 않는다.

무거움을 지고 있지만 자신의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한다. 그 노력의 하나가 바로 상담하는 것이다.


엄마와 딸은 서로를 걱정한다. 소설의 마지막에 나오는 문장처럼 ‘서로 자유롭게 함께 있’지 못한다.

자신이 엄마를 걱정하고 있다는 사실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한 적도 없다는 사실도 처음 알게 된다.

이 부분은 잠시 나의 이십 대로 나를 끌고 간다. 나도 도움을 요청하는데 아주 약했다.

흔한 모녀의 갈등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 담긴 내용은 결국 자유와 공존이다.

서로를 인정하고, 자신의 삶을 살면서 함께 하는 삶을 바란다. 쉬운 일이 아니다.

잠시 자신을 돈에 팔려고 한 적도 있는데 역시 이것도 어렵다. 쉽게 하는 사람들이 대단하다.

은호의 선배 윤지가 “살고 싶다면 먼저 죽어야 한다.”는 선불교의 가름침을 말한다.

고민만 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은호는 상담사를 통해 그 문제의 본질에 다가간다.


나의 이십 대를 떠올리면 상당히 성숙한 은호다.

은호는 자신의 스무 살과 엄마의 스무 살을 비교한다. 엄마는 당연히 자신처럼 살지 말라고 한다.

너무 흔하게 듣는 말과 보는 상황이지만 그 흔함 속에 우리의 일상이 그대로 녹아 있다.

그 흔한 말과 상황은 그 뿌리를 파고 들면 제각각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작가는 이 부분을 아주 잘 표현하고, 눈에 보이는 삶의 이면을 갑자기 드러낸다.

편해 보이는 일상의 다른 모습과 각자의 고민이 빠르게 표현되다. 카페 사장이나 윤지 선배가 그렇다.

결국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말하고, 자신을 드러내면서 한 발 나아간다.

그 성장은 완전하지 않고, 이제 겨우 시작이다. 하지만 그 한 발이 모든 변화와 성장의 시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