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론 저축은행 - 라이프 앤드 데스 단편집
차무진 지음 / 요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무진 작가의 첫 단편소설집이다.

작가의 단편은 앤솔로지를 통해 만난 적이 있다.

이번 단편집에 실린 소설들은 내가 읽지 않은 앤솔로지나 잡지에 실렸었다.

장편 소설도 사 놓았는데 늘 그렇듯이 쉽게 손이 나가지 않는다. 이젠 나쁜 습관처럼 느껴진다.

모두 여덟 편이 실려 있는데 예상하지 못한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어떤 이야기는 슬프고, 어떤 이야기는 동심을 파괴하고, 어떤 이야기는 웃게 한다.

예상하지 못한 반전들을 뒤에 놓고 나를 놀라게 한 소설도 적지 않다. 장편에 대한 기대가 커진다.


<그 봄>은 마지막 반전을 보고 나의 머리가 점점 굳어간다고 느꼈다.

매년 두 형제가 머무는 절에 찾아오는 엄마를 그리워하고 갈망하는 형제의 모습이 진하게 그려진다.

읽다 보면 선입견에 빠져 이 두 형제 중 형 시원의 시선을 따라간다.

매일 밤 엄마를 찾는 동생과 그들에게 호의적인 스님. 그리고 그들을 좋아하지 않는 듯한 보살들.

<마포대교의 노파>도 비슷한 방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마포대교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자살한다는 사실과 귀신을 본다고 말하는 경찰을 엮었다.

이 노파를 만난 행인이 갑자기 마포대교 밑으로 몸을 던진다. 자살을 유도하는 악귀 같다.

하지만 이야기가 더 진행되면서 작가가 꽁꽁 숨겨둔 사실 하나가 드러난다.

마포대교 위에 적힌 수많은 글들을 보면서 왜 적었었지 생각했는데 이 소설을 읽고 생각이 바뀌었다.


<아폴론 저축은행>은 온 가족 자살 시도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얼마나 삶이 힘들고 어려우면 이런 극단적 선택을 할까? 삶의 의지는 최후의 순간 멈춘다.

다시 살아보자 생각하고 택시 운전을 하는 그에게 한 노인이 이상한 곳으로 그를 데리고 간다.

미래에 생길 돈을 예측해 돈을 주는 은행 아폴론 저축은행이다. 선이자 뗀 후 9억5천만 원이 입금된다.

행복해야 할 삶이 몇 가지 불행한 가능성 때문에 뒤엉킨다.

마지막 장면은 억지 같지만 삶의 다양한 현실과 과거의 궤적을 보면서 고개를 끄덕인다.

<상사화당>은 조선시대로 넘어간다. 독을 만드는 노인의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임진왜란 이후 몇 년이 흘렀고, 많은 도기 장인들이 왜국으로 끌려갔다.

그에게 잘 깨어지지 않는 튼튼한 옹기를 만들어 달라는 부탁을 한 사내가 한다.

이 옹기에 들어갈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는 순간 섬뜩해졌다. 인간의 욕망이 만든 참혹함이 드러난다.

옹기 만드는 장면이 약간 더디게 읽히지만 곳곳에 깔아 둔 설정이 마지막에 크게 터진다.


<서모라의 밤>은 진시황이 전국을 통일한 이후 이야기다. 황당하고 재밌다.

불로초를 찾아 떠난 서복을 죽이기 위해 자객을 보냈다. 그런데 그는 불로초를 먹고 난 후 죽지 않는다.

그리고 서복의 황당한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그는 미래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왔다고 말한다.

타임머신인 런닝머신의 배터리가 떨어져 번개로 충전하려고 할 때 황제를 만났다.

이 황제에게 그가 만들어 준 음식이 하나 있는데 바로 마약 떡볶이다.

진시황은 이 떡볶이에 중독되었고, 이것을 가져오라고 동남 동녀와 배를 주었다고 한다.

이렇게 마약 떡볶이를 둘러싼 기이한 사건이 벌어지고, 마지막에 예상하지 못한 사실이 드러난다.

<비형도>도 신라의 전설을 현재와 엮었다.

현실과 허구가 뒤섞이고, 욕망이 예상하지 못한 이야기를 만든다.

급하게 진행되는 이야기는 재밌지만 환상이 사라진 후 현실은 조금 힘이 빠진다.

연작으로 이야기를 이어간다면 색다른 재미가 있을 것 같은데 어떨지 모르겠다.


<이중 선율>은 소방사의 힘든 현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서울의 시체를 실고 장례식장이 있는 전라도 광주까지 달려가는 구급차에서 오가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야기를 읽다 보면 이상한 부분이 눈에 들어오는데 그 예상은 뒤로 가면서 확인 가능하다.

시속 150킬로미터로 달리는 구급차 안에서 여자 소방사가 들려주는 현실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이다.

안전을 둘러싼 두 가지 이야기가 병행하는데 하나는 해결되었지만 다른 하나는 비극으로 마무리되었다.

제목의 의미가 마지막에 드러날 때 진한 슬픔이 느껴진다.

<피, 소나기>는 황순원의 <소나기> 이후를 좀비식으로 풀어내었다.

원작의 동심을 파괴하는 이야기가 진행되면서도 그 순수한 감정을 어느 선까지 남겨두었다.

소녀가 소년을 찾아와 벌이는 행위들은 너무 강렬하다. 순수한 듯하면서 잔혹하다.

이 소녀를 둘러싸고 벌이는 마지막 장면은 현학적이고 스산하고 코믹하다.

이 단편을 읽으면서 머릿속을 가장 많이 채운 이미지는 개울가에서 소녀를 업고 건너가는 소년의 모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