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
강형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저자는 퓰리처상을 두 차례나 수상한 이력이 있다. 대단하다.
현재 ‘Visual History of Korea’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책은 그 결과물 중 하나다.
책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둘째는 한국의 찬란한 역사를 품은 유산, 마지막으로 한국의 고유함을 오롯이 새긴 유산 들이다.
모두 스물다섯 개의 유산인데 개인에 따라 그 느낌이 다를 수 있다.
알고 있던 것들도 많지만 새롭게 알게 되고, 다른 시각으로 사물을 보는 경험을 했다.
그리고 각 장마다 영어로 그 유산을 간단하게 설명하는 글이 나오는데 영어 울렁증 때문에 대충 읽거나 그냥 넘어갔다. 읽으면서 번역이 같이 있었으면 어땠을까 하고 생각했다.
가장 먼저 나온 것은 고인돌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고인돌이 한국에 있다.
이 ‘고인돌’의 사진 중 일부는 낯설다. 내가 생각한 모양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백제 금동 대향로’나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을 이렇게 큰 사진으로 본 적이 없다.
세밀하고 자주 보지 못한 각도의 모양은 이전과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다.
특히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은 그 유려함을 새롭게 느끼게 되었다.
신라의 유리그릇을 보고 나의 잘못된 정보를 바로 잡았다. 그 시절에도 이런 멋진 유리 제품이 있었다고.
‘팔만대장경판’ 이야기를 읽을 때면 항상 조정래의 소설이 떠오른다. 장경판전에 대한 몇 가지 소문도.
종묘 제례와 한국의 서원으로 넘어오면 문화적 가치에 대해 고민하고, 그 단절을 걱정한다.
아주 오래 전 안동의 서원 한 곳을 다녀온 적이 있는데 지금 가면 그 느낌이 아닐 것 같다.
최근 매년 가는 제주도에서 동굴은 가본 적이 없다. 대학 때 가본 것 같아 그냥 넘어간다.
예전 느낌을 기대하고 올라간 성산 일출봉에서 그 감동이 사라진 경험을 했기 때문일까?
연천 전곡리 주먹 도끼의 의미를 이번에 새롭게 새겼다. 잊고 있던 것인지, 배우지 않았던 것인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이야기를 읽다 보면 주변에 있지만 인식하지 못하는 선대 유산들이 떠오른다.
개발과 산업회의 욕망 속에 얼마나 많은 유적과 유물들이 사자렸던가!
‘정문경’ 뒤에 새겨진 무늬를 보면서 그 정성과 노력에, 그 기술에 감탄한다.
‘성덕 대왕 신종’ 보다는 에밀레 종이 더 익숙한 이름이다. 지금도 타종하는지 궁금하다.
가야를 역사 시간에 배웠지만 한 번도 이 지역을 가야라고 생각하고 돌아본 적이 없다. 뭐가 잘못된 것일까?
민간 인쇄 조보는 어딘가에서 들은 것 같은데 우리의 인쇄기술과 그 시대를 살짝 엿본다.
독도하면 노래가 자연스럽게 나오지만 이번에 1948년에 있었던 민간인 학살에 대해 알게 되었다.
미국의 폭격 연습으로 그곳에서 미역을 채취하고 고기잡이를 하던 어민들이 150~200명 정도 죽었다.
이순신. 그 이름만으로 국뽕 가득하게 만든다. 그의 이름이 군사 정권의 목적에 의해 더 알려줬다고 해도.
그에 대한 이야기는 새로울 것이 없을 것 같지만 늘 새롭게 나온다.
우리의 글, 한글, 광화문 세종로에 선 이순신 장군상과 앉아 있는 세종대상 동상을 보면 늘 고마움을 느낀다.
한국 토종개는 사실 눈으로 보고 쉽게 구분하지 못한다, 삽살개 정도나 겨우 알까?
‘하회 별신굿 탈놀이’이 보다 만화나 드라마로 각시탈이 더 유명하다.
탈들에 입이 움직이느냐를 두고 신분을 구분한 부분은 새롭게 알게 된 것이다.
한국 사람 중 따뜻한 온돌을 싫어할 사람이 있을까?
더워 싫다고 할지 모르지만 한번 그 따스함을 맛들이면 평생 잊지 못한다.
직장 선배가 해외 호텔 화장실에 깔린 보일러에서 잠을 잤다고 했던 것이 생각난다.
한지를 볼 때면 조선 시대 문서고가 생각난다. 종이가 귀해 옛 책을 씻어 재활용했다는 것도.
김치. 채소 절임으로 생각하면 전 세계에 퍼져 있지만 우리의 김치는 그 중에서도 특이하다. 국뽕인가?
제주마에 대한 간단한 소개는 섬이란 특이 지형과 관련 있다. 제주도에선 내가 탄 말은 조랑말이 아니었다.
증도가자 금속 활자는 금속 활자에 대한 기록을 갱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직 불확실하다.
학창 시절 열심히 외운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전문가가 한국의 유산들을 자세하게 쓴 글이 아니다.
사진작가가 아주 멋지게 찍고 그 유산을 간략하게 요약해서 들려주는 책이다.
그렇게 많은 분량이 아니라 단숨에 읽을 수 있지만 천천히 음미하면서 읽어도 좋다.
화려한 사진은 보는 재미를 주고, 기존과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많은 글과 설명도 중요하지만 그 유산을 이렇게 멋진 사진으로 보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