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주의자 고희망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97
김지숙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종말에 대한 소설을 쓰는 중학생 작가가 고희망이다. 이 소설의 첫 장면은 고희망의 소설이다. 희망의 소설은 인터넷 플랫폼에 올라가는데 이 소설 중간중간에 삽입되어 있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모두 이니셜로 표시된다. 희망은 H, 지수는 J, 도하는 H로. 이 소설은 그렇게 인기가 많지 않지만 끝까지 읽어주는 독자들이 수십 명은 된다. 이전까지 두 편을 완결했다고 하니 대단하다. 앞의 두 작품 모두 종말을 다루고, 인간은 모두 죽었다. 왜 열다섯 중학생 소녀는 이런 종말에 대한 소설을 쓰는 것일까? 작가는 희망의 이야기를 따라가면서 그 이유와 가족의 화해 등을 그려낸다.


책을 선택하는 이유 중 한 가지가 책 표지다. 보통 나에게 크게 작용하지 않지만 이 책은 서점에서 왠지 나의 시선을 끌었다. 약간의 착각과 종말주의자란 단어에 혹했다. 평소에 잘 읽지 않는 청소년 소설이지만 최근에는 조금씩 읽고 있다. 웹소설 쪽으로 가면서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다룬 소설들이 넘쳐난다. 그 유명한 <나는 전설이다>도 그런 소설 중 하나이지 않는가. 뭐 내가 이 소설에서 그런 것을 기대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인류의 종말은 언제나 시선을 끈다. 고희망이 쓴 소설 속 장면들은 생존을 위해 발버둥치는 인간의 모습을 다루지 않는다. 갑자기 생긴 종말 속에서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모습만 보여줄 뿐이다. 이 갑작스러운 종말은 우리 삶에서 생각보다 자주 일어나는 갑작스러운 사건이나 일과도 관계 있다.


희망에게는 남동생 소망이 있었다. 이 동생이 희망이와 놀다 교통사고로 죽었다. 소망의 죽음은 가족의 삶을 뒤흔들고 뒤틀었다. 가라앉은 삶에 변화를 준 것은 할머니의 국밥집이다. 동네 노포인데 식당 위로 집을 증축해서 온 가족이 한 건물에 살고 있다. 엄마는 약을 먹고 슬픔에 잠겨 있고, 아빠는 표정이 없다. 이런 환경에서 희망은 삼촌 요한과 가장 잘 지낸다. 한국 최고 대학을 나왔고, 최고의 기업에서 일한다. 잘 생겼다는 표현까지 나온다. 희망은 삼촌의 서재에서 삼촌이 읽은 책들을 따라 읽었다. 그 나이에 어려운 책이지만 좋아하는 삼촌이라 호기심도 작용했다. 이런 희망의 삶에 다시 한 번 큰 변화가 생긴다. 삼촌이 게이란 사실이 알려진 것이다. 희망은 우연히 남자와 키스하는 장면을 봤는데 사내 통신망에 사진과 글이 올라온 것이다.


커밍아웃을 하기 쉽지 않고, 했다고 해도 사람들의 시선은 결코 좋지 않다. 요한이 게이란 사실이 밝혀진 후 일어나는 이야기는 흔한 일들이다. 아주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할머니에게 다른 신자들이 말하는 것이나 퀴어 페스티벌에 참여해서 생기는 일들은 사실적이고 우리 사회의 한 면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이 사건은 희망의 가족을 강하게 억누르던 죽음의 무게를 조금씩 들어내는 계기가 된다. 서로가 마음 속으로 품고 있지만 말로 내뱉지 않고 묵혀 두었던 감정들이 밖으로 튀어나오면서 소망의 죽음을 정면에서 마주할 기회를 가진 것이다. 그리고 각자가 가슴 속에 품고 있던 어둠의 조각을 밖으로 드러낸다. 오해와 착각 등이 죄의식으로 변해 그들을 억눌렀다. 앞으로 한 발 나아가는 기회는 이렇게 종말처럼 갑자기 생긴다.


종말주의자란 단어 때문에 무거운 소설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전혀 아니다. 무거운 몇 가지 이야기가 있지만 희망과 친구들의 생활은 그렇게 무겁지 않다. 작가도 청소년들의 작은 로맨스를 적절하게 녹여내고, 낯익은 모습과 상황으로 그 무게를 들어낸다. 삶에서 우린 언제나 예상하지 못한 상황들을 마주한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는 말이 있지만 즐길 수 없는 상황도 있다. 하지만 그 상황을 피하기만 한다면 평생 도망쳐 다녀야 한다. 이 상황을 마주하려면 용기가 필요하다. 요한 삼촌이 퀴어 페스티벌의 단상에 올라간 것도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다. 엄마와 희망이 서로의 속내를 드러낸 것도 마찬가지다. 엄마가 소망의 죽음을 자책하는 희망에게 한 말에는 고개를 끄덕인다. 성장은 청소년만의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